Abstract

Empirical studies on positive outcomes of occupational calling are increasing, but there are relatively few considerations of psychological variables and mechanisms that predict perceiving a calling. We studied a mediating effect of leader identification and moral identity in a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leadership and occupational calling. 324 Navy personnel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responded to the following questionnaires: Ethical Leadership Scale (ELS); Leader Identification Scale; Moral Identity Scale; Calling and Vocation Questionnaire (CVQ).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leadership, leader identification, moral identity, and occupational calling. Also, ethical leadership was positively related to occupational calling, and moral identity was also positively related to occupational calling. Lastly, a sequential mediating model showed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leadership and occupational calling was mediated by both leader identification and moral identity sequentially. Based on the resul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promoting moral identity and occupational calling,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Highlights

  • 그렇다면 소명의식의 형성 및 증진을 예측 할 수 있는 요인은 무엇인가? 소명의식의 선 행변수를 규명한 실증연구를 살펴보면, 직업 소명을 예측하는 요인은 개인적 변인과 사회 적 변인으로 구분된다. 먼저, 개인적 변인으로 서 자신의 직업에 대해 높은 열정과 몰입, 만 족 등 긍정적 태도를 지닐 경우 소명의식을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Duffy, Allan, Autin, & Douglass, 2014), 직무 명확성 (Vocational clarity)과 의미감(Work meaningfulness; Duffy, Douglass, Autin, & Allan, 2014; Zhang, Hirschi, Herrmann, Wei, & Zhang, 2017a)을 바탕 으로 소명의식을 촉진할 수 있다고 보고한다. 이러한 결과들은 소명의식을 안정적이고 선험 적인 속성(Priori calling)으로서 규명했던 기존의 접근을 넘어, 소명의식이 다양한 개인적 직무 경험을 통해 변화할 수 있다는 소명의식의 역 동모형(Dynamics of calling; Dobrow, 2013; Kwon & Kim, 2017)을 지지하고 있다

  • Key words : Social Learning Theory, Ethical Leadership, Leader Identification, Moral Identity, Occupational Calling

Read more

Summary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로서 연구되어왔기 때문에, 후천적 관점에서 소명의식을 예측하는 심리 사회적 변인에 대한 추가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소명의식을 증진시킬 수 있는 요인을 밝히고, 변인 간 영향 관계를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사회학습 이론(Social learning theory)을 기반으로 상사의 윤리적 리 더십이 부하의 소명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리더 동일시와 도덕적 정체성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해군 장병 324명을 대상으로 윤리적 리더십 척도, 리더 동일시 척도, 도덕적 정체 성 척도, 소명의식 척도를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윤리적 리더십, 리더 동일시, 도덕적 정체성, 소명의식 간 상호 유의한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둘째, 윤리적 리더 십은 소명의식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윤리적 리더십은 부하의 리 더 동일시를 매개하여 도덕적 정체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도덕적 정체성은 소명의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윤리적 리더십이 소명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부하의 리더 동일시와 도덕적 정체성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부하가 리더를 윤리적으로 인식할수록 리더를 동일시하는 학습 과정을 통해 도덕적 정체성을 내재화하며, 이를 통해 직업에 대한 소명의식을 함양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 구의 이론 및 실무적 시사점, 한계점과 후속 연구의 필요성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셋째, 윤리적 리더십은 부하의 리 더 동일시를 매개하여 도덕적 정체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기관 종사자 943명의 윤리적 리더십 인식과 소명의식의 관계를 살펴본 Zhang과 Jiang(2020)의 연구에서는 윤리적 리더십에 대 한 지각 수준이 높은 조직원일수록 그들의 일 을 소명으로 여기는 경향이 높다는 결과를 보 고하였으며, 부하가 지각한 윤리적 리더십과 부하의 소명의식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 (r = .38, p < .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윤리적 리더십이 공공선 인식, 친사회적 동기, 사회적 의무감과 같은 소명의식의 선행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부하의 소명의식 에 미치는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 영향력을 살 펴보고자 다음과 같이 가설 1을 설정하였다. Zhu와 그의 동료들(2016)은 중국 기업 상사-부하 89 쌍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에서 상사의 윤리 적 리더십 인식이 부하의 도덕적 정체성 수 준을 직접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음을 사회학 습 이론을 기반으로 설명하였으며, Zhu(2008) 는 윤리적 리더가 솔선수범(i.e., Leading by example)을 보여줌으로써 부하의 도덕적 정체 성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보고하 였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모델을 검증하기 위하고자 Mplus 7.4를 이용하여 구조 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고, 가설에서 설정한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95% 신 뢰구간을 설정하여 10,000번의 부트스트래핑 (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TLI RMSEA SRMR
Occupational calling
Findings
Lower Upper Hypotheses B SE limit limit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

Disclaimer: All third-party content on this website/platform is and will remain the property of their respective owners and is provided on "as is" basis without any warranties, express or implied. Use of third-party content does not indicate any affiliation, sponsorship with or endorsement by them. Any references to third-party content is to identify the corresponding services and shall be considered fair use under The CopyrightLa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