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ost-retirement preparation of middle & young-old aged workers before their complete labor force withdrawal have received more attention in countries where aging society is progressing rapidly. Given that organizations and society may not be able to provide a full support for the later life of middle & young-old aged workers, self-directed preparation of individual workers is a key factor for the successful retir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 mediating role of mentoring between generativity and post-retirement preparation based on the theory of adult development of Erikson associated with generativity. The effect of mentoring may also be influenced by work-related factor for the old-aged workers. Thus, this study simultaneously tested the effect of work engagement as another predictor of mentoring and post-retirement preparation. Given the expected roles of the generation in this age are quite different by gender, the gender difference in the pattern of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was also hypothesized. Conducting a survey research to 320 employed middle and young-old aged worker, the data was analyzed by multi-group analysis using Structured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found the positive effects of generativity and work engagement on post-retirement preparation through mentoring behavior. Gender difference was also found in some paths of the research model.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ovided based on the findings.

Highlights

  • 우리나라에서 빠르게 진행되는 저출산과 고 령화 현상은 노동력 감소를 일으킴으로써 국 가 경쟁력에 위협요인이 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선진국만큼 공적 소득보장제도가 자리를 잡고 있지 못하므로 시행되는 공적 보 장제도만으로는 노후생활에 대한 경제적인 문 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박창제, 2008). 따라서 공적연금 제도뿐 아니라 개인적인 노후준비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조추용, 송미영, 이근 선, 2009). 중장년의 경우 노부모와 취학자녀 부양에 대해 심리적 부담이 클수록 시간적으 로나 경제적으로 여유가 부족하여 노후를 준 비하기 어렵다(정규형, 박서영, 2014). 또한, 자 녀가 많을수록 자녀를 부양하느라 노후를 위 한 저축액이 줄어드는 반면, 자녀의 부모 부 양에 대한 의지는 약하므로 개인이 적극적으 로 노후를 준비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여건 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김대환, 류건식, 2014)

  • 고령자 고용과 관련된 차원에서 정부는 년 2013 5월 22일에 ‘고용상 연령차별금지 및 고령자고용촉진에 관한 법률’ 제19조를 개정 하여 과거 근로자의 정년을 세60 이상이 되도 록 권고하던 것에서 근로자의 정년을 세60 이 상으로 정하도록 의무화하였으며, 년 2016 1월 1일부터 해당 법안을 시행할 예정이다. 즉, 고 령자고용법의 개정은 중장년 근로자의 퇴직을 늦추고 이들이 노동 시장에 더 참여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정책적으로 반영한 것이라 볼 수 있다

  • 따라서 직 무열의에서 노후준비에 이르는 심리적인 과정 을 보다 명백히 밝힘으로써, 직무열의 수준이 높은 중장년이 노후준비를 잘 하게 되는 심리 적인 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중장년 근로자의 동기를 관리하는 측면에서 조직의 정책수립에 도움이 될 것이다

Read more

Summary

Introdu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중장년 근로자의 노후준비에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직무 측면 에서 직무열의와 개인 측면에서 생성감 이 (generativity) 중장년 근로자의 노후준비에 어떻게 영 향을 미치는지를 중점적으로 확인하였다. 특히 생성감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멘토링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리고 다집단 분석을 통해 집단에 따른 연구모형의 경로계수를 비교함 으로써 특정 경로가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한 후, 멘토링의 매개효과 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중장년 근로자 320명의 설문을 분석한 결과, 모 든 표본을 대상으로 간접효과를 검증했을 때, 직무열의와 생성감은 멘토링을 통해서 노후준 비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열의에 대해서는 부분적으로 매개되 었으며, 생성감에 대해서는 완전히 매개되었다. 그리고 다집단 분석 결과 직무열의와 멘토링 간의 경로에서만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 으로 성별에 따른 멘토링의 간접효과를 검증한 결과 남자의 경우에만 두 가지 매개 경로가 모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장년 근로자의 노후준비에 대해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직무열의와 생성감이 중장년 근로자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멘토링의 매개효과 및 성차의 효과* 중장년 근로자 320명의 설문을 분석한 결과, 모 든 표본을 대상으로 간접효과를 검증했을 때, 직무열의와 생성감은 멘토링을 통해서 노후준 비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교수.한태영 / 직무열의와 생성감이 중장년 근로자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멘토링의 매개효과 및 성차의 효과

Objectives
Results
Conclusion
Full Text
Paper version not known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

Disclaimer: All third-party content on this website/platform is and will remain the property of their respective owners and is provided on "as is" basis without any warranties, express or implied. Use of third-party content does not indicate any affiliation, sponsorship with or endorsement by them. Any references to third-party content is to identify the corresponding services and shall be considered fair use under The CopyrightLa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