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기본심리욕구만족과 공감이 도움동기를 매개로 하여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기결정성 이론 및 공감과 관련된 선행연구에 근거한 연구모형을 수립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는 중·고등학생 319명이 참여하였으며, 이들은 기본심리욕구만족, 공감, 도움동기 및 친사회적 행동 경향성을 자기보고식으로 평정하였다. 연구결과, 기본심리욕구만족과 공감은 자율적 도움동기를 매개로 하여 친사회적 행동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반면에 기본심리욕구만족과 공감이 통제적 도움동기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으나, 통제적 도움동기는 친사회적 행동을 부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친사회적 행동의 예측 변인으로 기존 연구에서 잘 알려진 공감뿐만 아니라 기본심리욕구만족도 함께 고려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기본심리욕구만족과 공감의 순기능적 역할이 실증적으로 확인됨에 따라 본 연구는 친사회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에 적용될 수 있는 이론적이고 실천적인 연구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tributions of psychological basic need satisfaction and empathy to prosocial behaviors. We proposed and tested a model in which (1) psychological basic need satisfaction and empathy contributed positively to autonomous helping motivation and negatively to controlled helping motivation and (2) autonomous helping motivation contributed positively while controlled helping motivation contributed negatively to prosocial behavior. Participants were 319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self-reported their psychological needs(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empathy, autonomous and controlled helping motivation, and prosocial behavio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howed that psychological basic need satisfaction and empathy predicted autonomous helping motivation but did not predict controlled helping motivation, while autonomous helping motivation predicted positively and controlled motivation predicted negatively prosocial behavio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need satisfaction and empathy are important antecedents of prosocial behavior. We discuss how these findings might be useful in the design of school-based interventions to promote students’ prosocial behavior.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