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job demands on job stress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job control and procedural justice. Specifically, first, the job demands were divided into quantitative demands and qualitative demands, and relative effects of the two demands on job stress were compared. Second, the moderating effects of job control and procedural justice were tested. Data were collected from 454 employees engaged in various domestic companies.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emands had positively significant effects on job stress and qualitative demands had a greater effect on job stress than quantitative demands did. The results of moderating effects showed that job control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quantitative demand and job stress whereas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of job contro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qualitative demand and job stress. Also there was a moderating effect of procedural justi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quantitative demand and job stress, but contrary to the hypothesis, the relationship was stronger when procedural justice was high. Finally, the academic significance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the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Highlights

  • 둘째, 양적요구와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질적요구와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직무통 제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 각 관계에서 조절 효과가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비교해 보고자 한다. 직무통제는 업무의 계획이나 순 서, 방법 등을 해당 직무담당자가 얼마나 자 율적으로 수립하고 결정할 수 있는가의 정도 로 정의되어 왔으며 업무수행 계획이나 문제 해결방식의 자율성 등으로 측정된다(Karasek, 1979). 직무스트레스 연구모형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직무요구-통제모형에서 직무스 트레스에 대한 직무요구의 영향을 완충시켜 주는 것으로 알려진 직무통제가 양적요구와 질적요구에서 조절효과가 어떻게 다르게 나타 나는지 비교해 보고자 한다

  • Key words : job demands, quantitative demands, qualitative demands, job stress, job control, procedural justice

Read more

Summary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본 연구는 직무스트레스를 예측하는 변인들을 파악하고, 그 변인들 간의 관계성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첫째, 직무요구를 양적요구와 질적요구로 구분하여 직무스트레 스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를 비교하였다. 둘째, 양적요구와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질적요구 와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직무통제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셋째, 양적요구와 직무스트 레스와의 관계, 질적요구와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절차공정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다양한 기업, 다양한 직종에 종사하고 있는 직장인 명을 454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최종분석에는 명의 437 설문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양적요구와 질적요구 모두 직무스트레스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질적요구가 양적요구보다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 과, 직무통제가 커질수록 양적요구와 직무스트레스 간의 정적인 관계는 완화되었으나, 절차 공정성이 커질수록 양적요구와 직무스트레스 간의 정적인 관계는 강화되는 것으로 나왔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와 실무적 시사점, 그리고 연구의 제 한점 및 향후 연구과제에 대하여 논하였다. 셋째, 양적요구와 직무스트 레스와의 관계, 질적요구와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절차공정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직무스트레스 연구모형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직무요구-통제모형에서 직무스 트레스에 대한 직무요구의 영향을 완충시켜 주는 것으로 알려진 직무통제가 양적요구와 질적요구에서 조절효과가 어떻게 다르게 나타 나는지 비교해 보고자 한다. 따라서 양적요구와 질적요구 모두 직무스트 레스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질적요구의 영 향이 더 클 것으로 가설을 세웠다. 이나 틀 혹은 인지적인 차원의 태도를 변화시 킬 수도 있다(Adams, 1965; Dittrich & Carrell, 이러한 공정성 지각은 직무담당자가 직면하 는 직무요구 수준과 상호작용하여 직무요구와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요인으로 도 작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절차공정성은 양적요구와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완충효과가 있을 것으로 가설을 세 웠다. 하지만 질적요구와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 에서는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역할모호성 과 역할갈등과 같은 질적요구가 상사와의 관 계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절차공정 성이 주어지더라도 이를 조절하기 어려울 것 으로 보았다 따라서 질적요 (Rizzo et al, 1970). 먼저 본 연구에서 직무요구를 측정하기 위 해 사용한 양적요구와 질적요구가 서로 구분 되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 였다. 주축요인분석과 베리맥스 방식을 통해 고유값이 1.0 이상을 기준으로 하여 요인분석 을 실시한 결과, 표 1에서 보듯이 직무요구는 양적요구 6문항과 질적요구 6문항의 2요인으 로 구분되었다. 측정변인들의 기술통계 및 상호상관

Eigen value
Kwangwoon University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

Disclaimer: All third-party content on this website/platform is and will remain the property of their respective owners and is provided on "as is" basis without any warranties, express or implied. Use of third-party content does not indicate any affiliation, sponsorship with or endorsement by them. Any references to third-party content is to identify the corresponding services and shall be considered fair use under The CopyrightLa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