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ierarchical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performance-based human resource system on climate of silence and silence behavior and to reveal this process. Specifically, We will examine the effect the hierarchical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performance-based human resource system on organizational silence, the dual mediated effects on climate of silence and psychological unsafety. A total of 300 employee working in a variety of difference fields in Korea participated in an on-line survey, These results showed that hierarchical organizational structure had a positive effect on climate of silence and Performance-based human resource system had a negative effect on climate of silence. Climate of sil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unsafety and Psychological unsafety had a positive effect on defensive silence. The defensive silence a positive effect on acquiescent silence. The hierarchical organizational structure had a effect on defensive silence, through climate of silence and psychological unsafefy, and had a effect on acquiescent silence, through climate of silence, psychology unsafety, and defensive silence. this study is significance to integrately consider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structure, culture and Psychological factor on silence behavior.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Highlights

  • 가는 경로가 =.584로

  • Key words : hierarchical organizational structure, performance-based human resource system, climate of silence, psychological unsafety, selfish silence behavior

Read more

Summary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본 연구는 위계적 조직구조와 성과주의 인사시스템이 침묵 풍토와 이기적 침묵 행동에 미치 는 영향과 그 과정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위계적 조직구조와 성과주의 인사 시스템이 이기적 침묵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침묵 풍토와 심리적 불안전감의 이중 매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직장인 3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하였다. 연 구 결과, 침묵 풍토의 선행 변인으로 위계적 조직구조는 침묵 풍토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 을 미쳤으며, 성과주의 인사시스템은 침묵 풍토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침묵 풍토는 심 리적 불안전감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심리적 불안전감은 방어적 침묵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방어적 침묵은 체념적 침묵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계적 조 직구조는 순차적으로 침묵 풍토, 심리적 불안전감을 매개하여 방어적 침묵에 영향을 미쳤으 며, 순차적으로 침묵 풍토, 심리적 불안전감, 방어적 침묵을 매개하여 체념적 침묵에 영향을 미쳤다. 이를 통해 조직의 구조, 문화, 심리적 요인이 침묵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통합적으 로 살펴본 것에 의의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그리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위계적 조직구조와 성과주의 인사 시스템이 이기적 침묵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침묵 풍토와 심리적 불안전감의 이중 매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Morrison과 Milliken(2000)은 침묵 행동을 유발하는 침묵 풍토의 원인 중 하나로 조직의 구조와 정책을 들었으며, Park과 Keil (2003)의 연구를 통해 위계적 조직구조가 침묵 풍토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밝혀졌다 연령· 직급이 낮을수록 회의는 ‘받아 적는 것’이라는 편견과 상사가 의견을 강요 혹은 발언을 독점 하는 회의(대한상공회의소, 2017)는 구성원들 에게 ‘침묵이 금이다’라고 강요하게 되는 것이 다. 이렇게 형성된 침묵 풍토는 개인의 태도인 심리적 불안전감에 영향을 미치고 결 국 침묵 행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위계적 조직구조와 성과주의 인사시스템이 침묵 풍토와 이기적 침묵 행동 에 어떠한 과정을 통해 영향을 미치는지 통합 적으로 검증해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선행연구들을 살펴봤을 때, 위계 적 조직구조와 성과주의 인사시스템은 구성원 들은 명시적·암묵적으로 조직 내에서 발언하 는 것이 위험하거나 무익하다고 인지하는데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CFI RMSEA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ilence
Findings
Youngseok Han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