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examination of the effects of disagreement, interference, negative emotion on task conflict and relationship conflict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interpersonal conflict is a combination of cognitive, behavioral, affective components. In addition, the research attempts to show that the effects of behavioral and affective components of conflict on relationship conflict are vary with the individual's value orientation. Furthermore, the investigation that these components of conflict have impact on individual's creative performance was made. 141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ree experimental conditions (disagreement, interference, negative emotion) and engaged in group brain- storming session while experimenter manipulated the group interaction according to each condition. Findings showed that the creative performance was highest when there is only disagreement in the setting of conflict situation, while interference and negative emotion decrease the creative performance. Task conflict was not affected by interference, but increased by negative emotion. Relationship conflict was increased by inclusion of components of conflict in a linear trend. Negative emotion had greater effect on relationship conflict when an individual had collective value orientation. The limitation and implication of the study and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Highlights

  • 갈등에 대한 방대한 양의 작업과 연구주제 로서의 긴 생명력에도 불구하고, 명확하고 일 반적으로 통용되는 구성개념의 정의와 분류 가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Barki & Hartwick, 2004). 본 논문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다양한 형태, 단위, 맥락을 가진 갈등 중 집단과 조직 의 맥락에서 발생하는 대인간의 갈등에 한정 하여 논의를 이끌어 나가고자 한다. 년 1990 이전에는 많은 조직 문헌들이 갈등은 비생산 적인 것이 당연하다고 여겼으며, 조심스럽게 특정한 환경에서는 조직에서의 갈등이 건설 적일 것이라 제안했던 이론가들에게는 경험 적 증거가 부족하였다(Jehn & Bendersky, 2003). 과거 년50 동안의 조직 연구에 대한 개괄 문 헌에서, 갈등은 사람들이 상호작용할 때 언

  • Key words : components of conflict, task conflict, relationship conflict, individualism, collectivism

Read more

Summary

CFI RMSEA SRMR

아이디어의 양(유창성)은 중복되지 않은 아이디어의 개수를 사용하였고, 아이디어의 질(독창성)은 전체 피험자가 산출한 아이디어. 과업 갈등 본 실험의 각 조건에는 모두 일정한 정도의 의견 불일치가 있도록 조작하였으며, 따라서 과업 수행과 관련이 있는 갈등을 나타내는 과 업 갈등의 수준은 조건 간 일정할 것으로 예 측하였다. 건 간에 차이가 발생하였는지 알아보기 위해 사후 비교를 실시하였으며, 이 때 1종 오류의 통제를 위해 Šidák-Bonferroni 교정을 사용하였 다(표 4). 관계 갈등 관계 갈등은 실험 조건에 갈등 요소가 추가 적으로 포함될 때 순차적으로 증가하며, 그 증가폭은 개인주의적 가치지향성을 지닌 사 람보다 집합주의적 가치지향성을 지닌 사람 에게 더 크게 나타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 하기 위해 실험 조건과 개인의 가치지향성 을 독립변수로 하는 3⨉2 이원 변량 분석 (two-way 을 ANOVA) 실시하였다. 관계 갈등은 유의한 증가 추세를 보였으며, 이는 가설 을 지지하는 결과이다 3 표 또한 이 증가 95.42, p

SS df MS
Findings
Yongwon Suh
Full Text
Paper version not known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