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effect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and safety climate on safe and unsafe behaviors. Safe behaviors were measured by observances and automatic safe behaviors, and unsafe behaviors by violations and mistakes. Three fifty employees from corporations were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Both mastery approach goal and performance approach goal orientations hav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 with the safe behaviors and negative relations with the unsafe behaviors, but both mastery avoidance goal and performance avoidance goal orientations have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 with the safe behaviors and positive relations with the unsafe behaviors. This results suggest to confirm the multiple goal perspective of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rgued both mastery goal and performance goal orientations have relations with adaptive and maladaptive behaviors. Safety climates measured by five factors, management values, safety practice, safety training, safety communication, and supervisor leadership, wer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 with safe behaviors and negative relations with unsafe behaviors. Specially safety climates have significantly stronger correlations with unintentional behaviors(automatic safe behavior and mistake) than intentional behaviors(observance and violation). The relative contributions of individual variables and organizational variables to safe and unsafe behaviors were discussed.

Highlights

  • 그러나 단순히 인간의 오류와 판단착오, 부 주의와 같은 불안전 행동을 줄이는 것만으로 는 사고 및 상해율을 감소시킬 수 없다는 한 계점이 지적되었다. 이러한 인식은 안전 문제 에 관하여 더 광범위한 시각에서의 심리학적 인 연구방법을 요구하기에 이르렀고, 이러한 맥락에서 Rasmussen(1990)은 산업사고의 원인으 로 초기에는 기계적 결함, 그 이후에는 휴먼

  • 가설 3. 숙달회피 지향성은 안전 행동(준수, 안전습관)과 부적 상관이 있고, 불안전 행동 (실수, 위반)과 정적 상관이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안 전 및 불안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성취 목 표 지향성과 안전 분위기의 상대적 효과를 탐 색한 결과, 안전 분위기는 안전 행동과 불안 전 행동 모두에 영향을 미치지만, 성취 목표 지향성은 불안전 행동만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Read more

Summary

Introduction

그러나 단순히 인간의 오류와 판단착오, 부 주의와 같은 불안전 행동을 줄이는 것만으로 는 사고 및 상해율을 감소시킬 수 없다는 한 계점이 지적되었다. 이러한 인식은 안전 문제 에 관하여 더 광범위한 시각에서의 심리학적 인 연구방법을 요구하기에 이르렀고, 이러한 맥락에서 Rasmussen(1990)은 산업사고의 원인으 로 초기에는 기계적 결함, 그 이후에는 휴먼. 정지희.박영석 / 성취 목표 지향성과 안전 분위기가 안전 및 불안전 행동에 미치는 영향 숙달접근 지향성은 안전 행동(준수, 안전습관)과 정적 상관이 있고, 불안전 행동 (실수, 위반)과 부적 상관이 있을 것이다. 수행접근 지향성은 안전 행동(준수, 안전습관)과 정적 상관이 있고, 불안전 행동 (실수, 위반)과 부적 상관이 있을 것이다.

Objectives
Results
Conclusion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