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ength of the relationship among job embeddedness,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s among Korean employees using meta-analytic methods with theoretical rationale. The results from meta-analysis of 44 Korean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the true-score correlations among on-the-job embeddedness, fit to organization, organization-related sacrifice, and turnover intention are -.569, -.462, -.414 each (k = 14-30, N = 4657-8299); the 95% CIs and 80% CVs for all relationships had no zero. Second, the true-score correlations among on-the-job embeddedness, three sub-factors, and work-related attitudes (affective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re all positively correlated and the 95% CIs and 80% CVs for all relationships had no zero. Third, the magnitude of true-score relationship between on-the-job embeddedness and work-related variables is somewhat stronger in this meta-analysis than in counterpart studies in western countries. Finally, estimating the incremental validity of on-the-job embeddedness using meta-analytic structural equation model, on-the- job embeddedness remains negatively related with turnover intention, after affective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are controlled. This meta-analytic findings contribute to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s among job embeddedness and work-related variables among Korean employees. Future studies should attempt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such as lack of information related to demographics. Further, more primary studies are needed since there were very few available studies on actual turnover and off-the-job embeddedness. Hopefully, this study will be a good guide for the future Korean studies on job embeddedness.

Highlights

  • 성과 이직의도 간 문화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 다. 게다가 실제 이직과의 관련성분석에 포함 된 집단주의문화권 국가는 인도샘플 1개만 포 함되어 해석을 일반화할 수가 없었으며(Jiang, 개의 국내연구 Liu, McKay, & Mitchell, 2012), 1 만이 집단주의문화권 샘플에 포함되어 있었다. 이에 따라 국내에 약 년10 간 축적되어온 연 구들을 수집하여 직무배태성이 이직의도에 미 치는 영향을 메타분석을 통해 통합자료로서 체계적으로 살펴보고 국외연구와 비교하였다. 추가로, 과거 이직에 대한 예측변인으로 가장 많이 다루어지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추가 로 이직의도를 예측하는 증분설명량을 검증하 여 직무배태성만의 차별적 영향력을 확인하였 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직에 대한 원인 을 밝히는 모형의 지속적 확장은 한계가 있으 며, 직무 및 조직과 무관한 이유로 퇴사하는 종업원들을 가려낼 수 있는 변인이 필요하다. 따라서 직무배태성과 이직의도 간 관련성에 대한 메타분석은 직무배태성의 유효성 및 이 직 관련 후속연구들에 대한 초석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 표 5에는 연구에 포함된 변수인 조직 내 배 태성과 조직적합성, 조직연계, 조직희생, 이직 의도, 정서몰입, 직무만족 간 관찰상관의 평균, 진점수 상관의 평균, 상관의 개수, 전체 표본 수, 그리고 해당 변인의 표준편차평균이 제시 되었다

Read more

Summary

Introduction

본 연구는 국내 종업원을 대상으로 수행된 국내.외 학술지 및 학위논문 44개의 개별연구를 토대로 직무배태성과 이직의도 및 태도변수들 간 관련성에 대해 메타분석을 수행하여 그 관 계의 방향과 강도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진점수 상관으로 볼 때 조직 내 배태성 과 이직의도(-.569), 조직적합성과 이직의도(-.462), 조직희생과 이직의도 간 부적 관련성(-.414) 이 있었으며, 80% 확신구간에 따라 변수들 간 관련성이 부적 방향으로 일반화되었다. 반면, 조직 내 배태성 및 하위요인들과 조직몰입, 직무만족 간 진점수 상관은 모두 정적 방향으로 일반화되었다. 본 연구에서 산출된 진점수 상관값과 기존 국외연구의 진점수 상관값을 비교 했을 때, 본 연구의 진점수 상관값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메타구조방정식을 통해 정서몰입과 직무만족이 통제된 상태에서 조직 내 배태성의 증분설명량을 검증한 결과, 경로 계수가 유의미하였고 타당한 모형적합도가 나타나 직무배태성이 기존의 이직관련 예측변인 들을 포괄하며, 다양하게 예측하는 요인임이 증명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 한점, 바람직한 후속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라서 직무배태성은 종업원의 잔류에 초점을 맞춘 개념이며, 이러한 이유로 척도가 공개 된 후 여러 연구에서 이직의도 및 이직과 의 관련성이 검증되었다(예: Crossley et al, 2007; Lee, Mitchell, Sablynski, Burton, &

Objectives
Results
Conclusion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