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personality diversity on well-being in life and job performance. Personality diversity is a hypothetical construct for this study based on self-concept differentiation across roles, considering both the variability between roles and the variability within a role in personality. Personality diversity is the variety of subject-specific personality, which refers to a variety of distinctive personality that are expressed according to the role. To this end, it is examined how personality diversity relates to life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After that, the process is explained through a mediated model by achievement goals. As a result, personality diversity showed negative relationship with life satisfaction. This result reconfirmed the previous studies. However, personality diversity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task performance, context performance, and adaptational performance. And even after controlling the level of personality, personality diversity showed significant incremental validity for task performance. In addition, the mastery approach goal orientation showed partial mediation effect between the personality diversity and task performance and full mediation effect between the personality diversity and the other criterion variables, contextual and adaptational performa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personality diversity is distinguished from the level of personality and can have adaptive effect on job performance rather than supporting the self-fragmentation hypothesis of prior researches. Finally, the need of reliability test for personality diversity and further research was suggested.

Highlights

  • 성격 다양성(personality diversity)은 대상간 변 산성과 대상내 변산성의 조합으로 만들어진 새로운 개념이다. 대상간 변산성은 선행 연구 에서 다루어진 역할간 변산성 또는 자기 개념 차별화(Self Concept Differentiation, 이하 SCD라 함)에 해당하며, 역할에 따라 나타나는 성격의 변산성을 보여준다. 대상내 변산성은 각 역할 별로 특정한 성격 요인이 얼마나 두드러지게 나타나는지를 보여주는 변산성이다

  • 성격 변산성이란 성격을 상황에 따라 다르 게 드러내는 특성이며, 성격을 반복 측정한 후 계산된 개인 내 표준편차의 평균으로 정의 된다(Fleeson, 2001). 성격 변산성은 성격 특성 이 상황에 따라 다르게 표출되는 것으로 일반 적으로 안정적 지표이다(Fleeson, 2007; Fleeson & Gallagher, 2009; Heller, Komar, & Lee, 2007). 성격은 목표 달성을 위한 활동을 제어하는 심 리적 과정일 뿐만 아니라 개인의 동기를 반영 하는 역동적 체계이므로, 상황에 따라 성격이 다른 양상을 보일 수 있다(Dweck, 1996). 따라 서 모든 개인은 성격에서 어느 정도 변산성을 보이며(Funder, 2009), 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에 비해 그 변산성이 더 일관적일 수 있으므로 개인차가 있다(Baird, Le, & Lucas, 2006; Clifton

  • Key words : personality diversity, self-concept differentiation, self-fragmentation, mastery approach goal orientation, job performance

Read more

Summary

Between roles SD

성은 높은 반면 외향성은 매우 낮은 수준을 보이는 것과 같이 상대적으로 두드러진 특성 이 드러난다. 표 2에서 ‘대상내 변산성(W)’은 직장동료 대상내 변산성(W1), 가족 대상내 변 산성(W2), 친구 대상내 변산성(W3)의 평균값 이다. 성격의 대상내 변산성은 대상간 변산성을 통제하고도 성격 다양성에 증분적 설명력을 가질 것이다. 성격 다양성은 삶의 만족과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며 성격의 수준을 통제하고도 증분적 설명력을 가질 것이다. 성격 다양성은 과업 수행, 맥락 수행, 적응 수행과 정적 상관 관계를 가지며 성격의 수준을 통제하고도 증분적 설명력을 가질 것이다. 숙달 회피 목표와 수행 회피 목 표 지향성은 성격 다양성과 직무 관련 준거 변수와의 관계에서 부적인 매개 효과를 가질 것이다. 숙달 접근 목표와 수행 접근 목 표 지향성은 성격 다양성과 직무 관련 준거 변수와의 관계에서 정적인 매개효과를 가질 것이다. 성취 목표 지향성 성취 목표 지향성을 측정하기 위해 Elliot과 McGregor(2001)의 문항을 한국어로 번역한 Sung 과 Park(2005)의 12문항으로 된 성취 목표 지 향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성격 다양성을 예측하는데 대상내 변산성이 가지는 고유한 설명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2개 회귀모형을 설정하여 그 결과를 표 5에 제시 하였다. 성격 다양성의 효과는 성격 수준을 통제하고도 유의하였고, 성격의 수준과는 달 리 삶의 만족에 부정적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Adaptational Performance
Adaptive Performance
Findings
Young Seok Park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

Disclaimer: All third-party content on this website/platform is and will remain the property of their respective owners and is provided on "as is" basis without any warranties, express or implied. Use of third-party content does not indicate any affiliation, sponsorship with or endorsement by them. Any references to third-party content is to identify the corresponding services and shall be considered fair use under The CopyrightLa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