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In this article, three studie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the tendency to regulate emotion expression in terms of the organizational member's cultural dispositions. Study 1 four hypothsises. First, allocentrics will have a higher level of emotion suppression than that of idiocentrics. Second, allocentrics will have a higher level of negative attitude towords emotion expressions than idiocentrices. third, the relation between allocentrics and emotion suppression will mediated by negative attitude to emotional expression. finally, allocentircs will be negatively evaluated than idiocentrics who shows emotional expression freely. For this study, data was collected from 196 employees by survey questionnaires. In study 1, it was found that allocentrics have a higher level of emotional suppression and negative attitude towards emotional expression than idiocentirics. The relation between allocentrics and emotional expression were mediated by negative attitude to emotional expression. But hypothesis 4 was not supported. In study 2, we experimented by including positive and negative conditions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emotional regulations between allocentrics and idiocentrics. The results show that allocentrics and idiocentrics do not differ in positive condition. However, in negative condition, allocentrics are more emotionally suppressed than that of idocentrics. Study 3 shows that by applying emotion type we were able to evaluate the fourth hypothesis of the first study. In socially engaged conditions, allocentrics were more favorable than idiocentrics. In socially disengaged conditions shows that allocentrics favored anger suppressing individuals over idiocentrics.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Highlights

  • 일반적으로 신세대라 칭하면 Y세대, N세대 라 불리는 년대 1980 전후로 출생한 세대들을 일컫는다. 구자순(1995)은 기성세대와 신세대 를 구분하고 있는데, 그 핵심 특징으로서 기 성세대는 집단주의적이고 사회적이며 보수적 인 특징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으며, 신세대들은 개인주의적이고 개성을 중시하는 것으로 그 특징을 나누고 있다. 또한 양동훈 (2013, 은 p.11) 기성세대는 조직위주의 삶, 안 정성, 및 집단주의 등의 특징을 나타내는 반 면, 신세대들은 직장 내 인간관계보다는 직장 외에서 다양한 동호회 활동을 참여하길 원하 고 개인적 삶의 질을 중요시 하는 특징을 보 이는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특징들은 시대적 흐름에 따라 서구의 개인주의적 가치관의 유 입으로 개인의 삶의 방식을 바꾸어 놓았다. 그에 따라 신세대들 또는 신입사원들은 집단 지향성 보다는 개인의 삶을 중시하는 개인 지 향성이 높아졌고(조영호, 2001; Cho, Yu, Joo, & Rowley, 2014), 조직내에서 자신을 표현하는 것

  • 이 연구의 실험 연구는 점화 효과를 통해 문화의 차이를 비교한 연구는 아니었다. 연구 의 참여자들에게 기존에 내재해 있는 성향을 측정하여 개인차를 통해 연구한 것으로서,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가 전적으로 문화차이 때문에 그런 것이라고 해석하는데 조심스러운 면이 있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개인 내 부에 내재하는 개인주의-집합주의 가치지향성 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실험실에서 가치지 향성을 점화하여 자기 지각의 인출을 증진시 켜 연구를 (Tramfimow, Triandis & Goto, 1991) 진행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 Three studie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the tendency to regulate emotion expression in terms of the organizational member's cultural dispositions

Read more

Summary

Bentler Bonett

정서표현에 대한 부정적 태도가 가치지향성 에 따라서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2를 검 증하기 위해 위와 같은 독립표본 t검증을 실 시하였다. 결과는 집합주의 가치지향성을 지닌 구성원들 이 개인주의 가치지향성을 지닌 구성원들보다 정서를 표현하는 것에 대한 부정적 태도가 더 높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가설2가 지지되 는 결과를 보여준다. 를 기반으로 집합주의 Soto, Perez, & Kim, 2011) 가치지향성이 높은 사람들은 개인주의 가치지 향성이 높은 사람들보다 부정정서를 유발한 조건에서 집단의 조화나 유지를 위해 정서를 더 억제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부정정서와는 대조적으로 긍정정서를 유발 한 조건에서는 개인주의 가치지향성이 높은 사람들이나 집합주의 가치지향성이 높은 사람 들이 정서표현억제에 차이가 없을 것으로 예 상할 수 있다. 따라서 개인주의-집합주의 가치지향성에 따라 긍정정서를 표현하는 것에 는 차이가 없을 것이다. 좀 더 자세한 해석을 위해 를 MANOVA 이 용하여 단순 주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긍정조건에서는 개인주의-집합주의 가치 지향성에 따른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SS df MS
Findings
Within subject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