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한국금석학의 역사에서 가장 주목해야할 일은 19세기에 있었던 한·중 금석탁본의 교류와 연구이다. 이 시기는 청조를 방문했던 많은 문인들과 역관들에 의해 금석학자들의 적극적인 학문적 교류가 확대되었고, 이를 계기로 금석문을 연구대상으로 삼 고자 하는 학풍이 생겨나기 시작한 시점으로, 그 중심에 覃溪 翁方綱(1733~1818)과 秋史 金正喜(1786~1856)가 있었다. 특히 이 두 학자간의 직접적인 만남과 교류는 韓中의 금석탁본을 서로 교환하고 분석하면서 자연스럽게 추사금석학을 탄생하 게 하는 결과를 낳았다. 조선의 18세기 후반과 경화지역은 청대의 학문과 예술에 대해 관심이 증폭된 시기로, 추사는 1809년 10월 24세에 司馬試에 합격하여 生員이 되면서 아버지 김노경이 冬至副使로 연경에 갈때 子弟軍官의 자격으로 함께 중국에 가게 되어 40일간 머무르며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공부를 하게 되었다. 이 짧은 기간동안 옹방강을 비롯한 曹江(?~?) ․ 徐松(1781-1848) · 阮元(1764~1849) ․ 朱鶴年(1760-1834) ․ 李鼎元(1749-?) ․ 李林松(?-?) 등과 만나면서 시서화는 물론 청조고증학을 받아 들이는 창구를 만들어 놓았고, 귀국후에도 이들과의 지속적인 교류를 유지하면서 새로운 학문에 대한 열망으로 추사금석학을 체계화시켰다. 특히 옹방강은 당시 최고의 학자로 조선의 젊은 청년과의 만남이 쉽지 않았으나 추사의 스승인 朴齊家(1750~1805)의 소개편지로 귀한 만남의 시간을 가질 수 있었으며, 이러한 인연으로 옹방강의 서재인 石墨書樓에서 중국의 귀중한 탁본진본과 서화진적을 볼 수 있었던 행운의 기회를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경험은 추사로 하여금 금석학과 고증학에 전념하는 큰 계기가 되었으며, 귀국 후에도 종종 서신을 나누면서 금석문을 분석하는 방법과 고증하는 과정, 제발, 쌍구의 체제를 지도 받았다. 당시 조선은 금석학 분야의 심도 있는 연구보다는 금석문을 서법연마의 자료로 활용하거나, 탁본을 통해 완상의 대상으로 삼았던 게 전부였으나 추사가 금석학의 체계를 세운 이후부터 금석문을 학문의 대상으로 삼아 체계적인 연구를 하면서 고 증과 분석을 하는 작업이 활발히 진행되어 여러 학자들에 의해 많은 성과가 있었다. 따라서 탁본첩의 제작이나 금석문 목록집의 편찬에서 더 나아가 금석문의 내용에 관해 釋文을 하고, 그 역사적인 유래와 의미, 서체를 연구하기 시작하면서 독립된 학문으로서의 체계를 갖추게 된 것이다. 따라서 목록집의 경우에도 단순히 비석의 위치나 명칭을 기록하는데서 더 나아가 건립 시기를 추정하고 간략한 해제를 첨가하는 데까지 나아가게 되었으며, 題跋文, 서예작품, 쌍구작품 등의 형태로도 분석결과를 남기게 되어 한국서예사 발전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The most noticable thing in history of Korean epigraphy is study and exchange of Korean and Chinese epigraphy in 19th century. In this time, social intercourse with epigrapher was enlarged by many literator and interpreter who visited the Ching dynasty and academic tradition trying to study epigraphy started to appear with this as a momentum. And there were Dam-gye Eong-bang-gang (覃溪翁方綱, 1733~1818) and Chu-sa Kim-Jeong-hee (秋史金正喜, 1786~1856) in the center of that. The interchange between these two scholars led to the birth of Chu-sa s epigraphy by intercourse between Korean and Chinese epigraphic rubbing and calligraphic effect. Kyung-hwa region of the late 18th century had a lots of interest in study and art of Ching dynasty. Chu-sa passed Sa-ma-si in October 24, 1809 and became saeng-won. He went to China for 40 days as child officer and studied systematically when his father, Kim No Kyung went to Yanjing as Dong-ji-bu-sa. In this short period, Chu-sa met Eong-bang-gang ․ Jo-gang (曹江, ?~?) ․ Seo-song(徐松, 1781-1848) · Wan-won (阮元, 1764~1849) ․ Ju-hak-yeon (朱鶴年, 1760-1834) ․ Lee-jeong-won (李鼎元, 1749-?) ․ Lee-im-song (李林松, ?-?) and made a window for accepting the study of ancient documents of Ching dynasty as well as poem, writing and painting. After coming back, he maintained continuous intercourse with them and systematized the epigraphy of Chu-sa with an enthusiasm to the new study. Especially, it was not easy to meet young man in Joseon as Eong-bang-gang was the greatest scholar in Ching dynasty but he met Chu-sa thanks to the introduction letter of Park-je-ga (朴齊家, 1750~1805) who was a teacher of Chu-sa. Also, he could luckily have a chance to see Chinese precious original copy of rubbing and real relics. It was a great opportunity for Chu-sa to concentrate on epigraphy and the study of the ancient, so they often sent letters to each other to learn the method of analyzing epigraph and studying historical evidence and system of Jebal and Ssang-gu. At that time, scholars of Joseon could only just use epigraph as a material of polishing writing style rather than intensive study on epigraph and regard an epigraph as appreciating object by rubbing. But, after Chu-sa systemize an epigraph, studying and analyzing epigraph systematically paid off by many scholars. So, they systemized epigraph as independent study as doing Jebal about epigraph and studying its historical origin, meaning and font making a headway from making rubbing book and lists of epigraph. Therefore, in case of lists of epigraph, they not only just write location or name of stone but estimate the contruction period and adding brief explanation so it had a great effect on developing Korean calligraphy history leaving the work of Jebal, calligraphic work and Ssang-gu work.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Disclaimer: All third-party content on this website/platform is and will remain the property of their respective owners and is provided on "as is" basis without any warranties, express or implied. Use of third-party content does not indicate any affiliation, sponsorship with or endorsement by them. Any references to third-party content is to identify the corresponding services and shall be considered fair use under The CopyrightLa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