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e,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Also,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e and job satisfac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e and burnout. Data were collected from 252 employees from a number of companies in korea.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by Baron and Kenny with SPSS 19.0.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e and job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positiv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e and burnout was significantly negativ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positiv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and burnout was significantly negative. Also,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e and job satisfac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e and burnout. In other words, we confirmed that ego-resilience and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raised job satisfaction, and decreased the burnout. ego-resilience not only effected on the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but also on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Finally, based on the result we discussed significance,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implication for further research.

Highlights

  • 자아탄력성이 사회적 지 지의 지각에 영향을 주어 궁극적으로 직무만족과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러한 점으로 보 아 본 연구는 개인이 관리해야 할 심리적 자 원과 기업이 지원해야 할 사회적 지지의 방향 을 제시해줬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Read more

Summary

Introdu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직장인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지각이 직무만족과 소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 사회적 지지의 지각이 자아탄력성과 직무만족, 소진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지를 검증하는 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국내의 다양한 기업에서 근무하고 있는 직장인 252 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을 19.0 이용하여 상관 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자아탄력성과 직무만족은 정적인 관계를 가졌 고, 자아탄력성과 소진은 부적인 관계를 보였다. 사회적 지지의 지각도 직무만족과 정적인 관계를 가졌고, 사회적 지지의 지각과 소진은 부적인 관계를 보였다. 회귀분석 결과, 사회적 지지의 지각은 자아탄력성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아탄력성과 소진의 관계에서도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직장인의 자아 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지각은 직무만족을 높이고 소진을 낮추며, 자아탄력성이 사회적 지 지의 지각에 영향을 주어 궁극적으로 직무만족과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논 의하였다. 즉 직장인의 자아 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지각은 직무만족을 높이고 소진을 낮추며, 자아탄력성이 사회적 지 지의 지각에 영향을 주어 궁극적으로 직무만족과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어 :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의 지각, 직무만족, 소진 안보배.박세영 / 직장인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지각이 직무만족과 소진에 미치는 효과: 사회적 지지 지각의 매개효과

Objectives
Results
Conclusion
Full Text
Paper version not known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

Disclaimer: All third-party content on this website/platform is and will remain the property of their respective owners and is provided on "as is" basis without any warranties, express or implied. Use of third-party content does not indicate any affiliation, sponsorship with or endorsement by them. Any references to third-party content is to identify the corresponding services and shall be considered fair use under The CopyrightLa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