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downward counterfactual thinking that imaging alternative relationships to the actual positive experiences with coworkers in the pas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CB), through a moderated mediation model of positive meaning in work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POS). To address this mechanism, we conducted an experiment with 106 Korean employees, working in a variety of organizations, by assigning them to either counterfactual or factual conditions randomly. The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who were in downward counterfactual thinking condition, manipulated to assume the alternative relationships to the actual positive experiences of helping other employees, evaluated more OCB than those who were in factual thinking condition. Positive meaning in work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unterfactual reflection and OCB.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positive meaning in work and POS on OCB. Specifically, positive meaning in work was more strongly associated with OCB as POS increased. Then, the result of examining the conditional indirect effect for a moderated mediation model showed that POS significantly moderated indirect path between positive meaning in work and OCB. Specifically,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meaning in work on OCB became stronger as POS increased. Limitations and further directions were discussed.

Highlights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downward counterfactual thinking that imaging alternative relationships

  • we conducted an experiment with 106 Korean employees

  • The result of examining the conditional indirect effect for a moderated mediation model showed that POS significantly moderated indirect path between positive meaning

Read more

Summary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본 연구에서는 과거의 실제 긍정적 경험이 발생하지 않았을 경우에 현재의 대안적 현실을 상상하는 하향적 사후가정 사고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일에서의 긍정적 의미 와 조직지원인식의 조절된 매개모형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다양한 조직과 직무에 종사하 는 한국인 직장인 106명을 대상으로, 사후가정 사고 조건과 사실적 사고 조건으로 무선할당 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조직 내 다른 구성원들에게 도움을 주었던 긍정적 경험 이 발생하지 않았을 경우를 가정한 하향적 사후가정 사고 집단이 사실적 사고 집단에 비해 조직시민행동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일에서의 긍정적 의미가 그 관계를 완전 매개하였다. 다음으로, 조직시민행동에 대하여 일에서의 긍정적 의미와 조직지원인식 간 유의한 상호작 용효과를 확인하였다. 조직지원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일에서의 긍정적 의미가 조직시민행동 에 미치는 정적 영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조절된 매개모형에 대한 조건부 간접 효과(conditional indirect 검증 effect) 결과, 일에서의 긍정적 의미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간접 경로를 조직지원인식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지원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일에서의 긍정적 의미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매개효과가 강하게 나타났다.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조직지원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일에서의 긍정적 의미가 조직시민행동 에 미치는 정적 영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조직지원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일에서의 긍정적 의미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매개효과가 강하게 나타났다.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긍정적 경험에 대해 서 그러한 경험이 일어나지 않았다고 가정하 는 사후가정 사고가 삶의 의미와 주관적 안녕 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윤서원, 이희경, 2014). 구체적으로, 조 직지원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일에서의 긍정적 의미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정적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날 것이다. 즉, 만약 지 금 하는 이 일을 하지 않았다면, 그러한 긍정 적 경험과 인간관계가 어떻게 바뀌었을지 생 각하게 하는 하향적 사후가정 사고가 일에서 의 긍정적 의미를 증가시켜 조직 내 도움행동, 즉 조직시민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매개하는지 검증하였다. 가설 3: 조직지원인식이 일에서의 긍정적 의미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할 것이다.

SE β t
Young Woo Sohn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