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behavior-based safety(BBS) program in improving safe behaviors and safety climate of organization. BBS program was applied to the steel manufacturing and construction sites.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measured by the percentage of employees’ safe behaviors observed and perceived safe behaviors and safety climate of employees. BBS program consisted of goal-setting, feedback, and incentive. The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adopted for perceived safe behaviors and safety climate. Observed safe behaviors were measured during the baseline and intervention phases(AB desig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ean percentage of employees’ safe behaviors observed increased after introducing BBS program. Also, the mean scores of perceived safe behaviors and safety climate of employees significantly increased.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Highlights

  • 본 연구의 목적은 행동주의 기반 안전관리(behavior based safety: BBS) 프로그램이 근로자들의 안전행동 향상과 조직 내 안전 분위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현장 연구를 통해 검증하 는 것이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사고 위험성이 높은 건설업체 곳1 (S 건설)과 제조업체 곳1 (S 철강)에 BBS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 BBS 프로그램의 주요 처치는 근로자들의 안전행 동에 대한 정기적인 피드백, 목표 설정, 목표 성취에 대한 보상 제공이었다. 본 연구의 주요 종속변인은 근로자들의 관찰된 안전행동 비율이었고, 추가적으로 근로자들이 지각한 안전행 동과 안전 분위기를 측정하였다. 관찰된 안전행동은 BBS 프로그램의 주요 처지 적용 이전인 기저선(A) 기간과 처치(B)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측정되었고(AB design) 지각된 안전행동과 안 전 분위기 변인에 대해서는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가 적용되었다. 연구결과 두 현장 모두 BBS 프로그램 적용 전보다 근로자들의 관찰된 안전행동, 지각된 안전행동, 안전 분위기 평 균 점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BBS 프로그램이 근 로자들의 안전행동 뿐만 아니라 조직 내 안전 분위기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학적인 접근법은 사고 위험이 있는 노후화된 기계를 교체하거나 인간 공학적으로 설계한 기계를 도입 혹은 안전장치를 개발함으로써 산업재해를 예방하는 방법이다. 정책적인 접 근법은 안전 규칙을 더 엄격하게 적용하거나 캠페인, 교육과 같은 방법을 통해 근로자들의 안전 의식을 변화시키는 것에 초점을 두는 방 법이다 이러한 산 (Zohar, Cohen, & Azar, 1980). 업재해 예방 접근법들은 단기적으로는 효과가 있는 듯이 보일 수 있지만, 현장 근로자가 능 동적으로 산업재해를 예방하는 방법이 아니기 때문에 장기적으로는 효과가 미비할 수 있다 (오세진, 2009). 이를 반영하듯, 공학적 그리고 정책적 접근법이 적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산업 재해는 줄어들지 않고 있으며, 오히려 산업 재해를 당하는 근로자 수는 증가하고 있 다

Read more

Summary

Introdu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행동주의 기반 안전관리(behavior based safety: BBS) 프로그램이 근로자들의 안전행동 향상과 조직 내 안전 분위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현장 연구를 통해 검증하 는 것이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사고 위험성이 높은 건설업체 곳1 (S 건설)과 제조업체 곳1 (S 철강)에 BBS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두 현장 모두 BBS 프로그램 적용 전보다 근로자들의 관찰된 안전행동, 지각된 안전행동, 안전 분위기 평 균 점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BBS 프로그램이 근 로자들의 안전행동 뿐만 아니라 조직 내 안전 분위기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Results
Conclusion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