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authentic leadership, job engagement, and procedural justice. Specificall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authentic leadership on procedural justice and job engagement that was partially mediated by procedural justice.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moder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procedural justice and the effect of power dist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cedural justice and job engagement. Data were collected from 300 Korean employees who were working in various organization via online survey, and 286 data were used for analysis, eliminating unreliable respons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ositive relationships among authentic leadership, job engagement, and procedural justice. Second,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ition analysis showed strong support for the proposed model, and the result of bootstrapping analysis supported that the effect of authentic leadership on job engagement is partially mediated by the procedural justice. Third, the results of hierarchial analysis showed tha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procedural justice, but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of power dist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cedural justice and job engagement.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ith the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Highlights

  • Gallup Organization의 보고 에 따르면 미국인 종사자들 중 오직 32%만이 자신의 직무에서 열정을 느낀다고 보고하였으 며(Gallup, 2016, 1, 7). 글로벌 인사컨설팅 업체 타워스 왓슨은 한국 직장 1000명중 오직 16% 만이 일에 완전히 몰두한다고 보고 하였다 (Towerswatson, 2012, 8, 1). 직무열의는 조직수 준의 성과를 증대시키고, 또한 구성원 개인에 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들을 볼 때(Kahn, 1990; Harter, Schmidt, & Hayes, 2002), 조직은 지속적 성장을 위해 핵심인재 육성뿐 아니라 구성원들의 직무몰입에도 관심을 가져 야 할 것이다

  • Shaufeli와 Bakker (2004)는 인간의 기본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 는 환경은 구성원의 직무열의를 향상시킨다고 하였다. 진정성을 갖춘 리더는 구성원들의 자 기인식을 높이고, 구성원들과 친민한 관계를 형성하며, 구성원들의 학습과 성장의 기회를 제공한다. 이러한 진정성 리더의 특성은 구성 원들의 기본욕구인 자율성, 관계성 및 유능감 욕구를 충족시켜 줌으로써 구성원의 직무열의 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미현, 정진 철과 오민정(2015)은 진정성 리더십이 직무열 의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입증한 바 있다

  • 넷째, 절차공정성은 진정성 리더십과 직무 열의의 관계를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진정성 리더십이 구 성원의 기본욕구를 충족시켜줌으로써 직무열 의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구성원이 절차공정성을 지각하게 함으로써 개 인의 업무에 대한 활력, 헌실, 몰두를 높인다 는 것을 의미한다. 즉, 자기인식과 자기조절을 통한 진정성리더의 행동은 직무의 물리적, 심 리적, 사회적, 조직적 측면을 제공해 줌으로써, 구성원이 업무에 대해 긍정적이고 성취감을 가지게 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진정성리더 의 높은 도덕적 역량은 투명한 의사결정 프로 세스와 조직의 윤리적 풍토를 강화시켜 구성 원들의 노력이 공정하게 반영될 수 있다는 믿 음을 심어준다. 따라서 구성원들은 사회교환 이론에 따라 자신의 직무에서 활력, 헌신 몰 두를 느낀다고 해석 할 수 있다

Read more

Summary

Introdu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진정성리더십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첫째, 진정성 리더십과 직무열의 및 절차공정성인식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둘째, 진정성 리 더십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절차공정성인식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진정성 리더십과 절차공정성인식의 관계에 있어 긍정심리자본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넷 째, 절차공정성인식과 직무열의의 관계에 있어 권력거리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 해 국내의 다양한 기업에 종사하고 있는 300명의 종업원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 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불성실 응답을 제외한 286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진정 성 리더십은 절차공정성인식 및 직무열의와 정적인 관련을 보였으며, 절차공정성인식은 직 무열의와 정적인 관계성을 보였다. 매개효과 분석 결과 절차공정성인식은 진정성 리더십과 직무열의의 관계를 부분매개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하직원의 긍정심리자본이 낮을 때보 다 높을 때 진정성 리더십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이 더 강하게 나타나, 긍정심리자본은 진정성 리더십과 직무열의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권력거리가 절 차공정성과 직무열의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라고 가정하였으나 이는 기각되었다. 이러한 연 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과제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매개효과 분석 결과 절차공정성인식은 진정성 리더십과 직무열의의 관계를 부분매개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하직원의 긍정심리자본이 낮을 때보 다 높을 때 진정성 리더십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이 더 강하게 나타나, 긍정심리자본은 진정성 리더십과 직무열의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진정성 리더의 특성은 구성 원들의 기본욕구인 자율성, 관계성 및 유능감 욕구를 충족시켜 줌으로써 구성원의 직무열의 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Objectives
Results
Conclusion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