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한·중 수교 이래로 두 나라 간의 정치, 경제, 역사, 문화 등 방면에서 모두 밀접한 관계를 가지게 되었다. 그러나 비록관계는 밀접해졌지만 다른 사회배경 아래에 각자 독특한 의식형태(意识形态)와 문화특징을 형성하였다. 본 논문은 남양(南阳) 옥조제품과 춘천(春川) 옥조제품을 연구대상으로 하고 문헌분석법, 비교분석법과 제품 실증분석법을 통해 한국과 중국의 옥조제품 조형(造型)예술표현의 형식과 조각기법 등 방면에 분석을 진행하고 관련 데이터 정보를 통계 및 정리한다. 창작소재, 문화표현, 장식문양(装饰纹样), 등을 통해 양국의 옥조문화 및 조형예술 표현방식의 동질성과 차이점(差异性)을 분석한다. 우선, 본 논문은 한·중 옥조의 문화발전 및 현황에 대한 이론에 대해 기술한다. 그리고 옥조시장의 현황을 분석 연구하여 그 창작현상의 배경을 탐구한다. 다음으로 체제별, 문화별, 사유별, 심미적으로 옥 조형성에 대한 조형 관념을 정리한다. 춘천옥과 남양옥은 옥석이 다른 클래스에 속하며 옥석이 성분, 색깔, 재질에 차이가 있음을 밝힌다. 논문의 3장은 춘천옥과 남양옥의 옥조제품의 표현내용, 조형적 특성, 색채, 문양, 조각기법을 분석하여 양자의 동일성과 차이점을 찾아내고 분석하여 결론을 낸다. 옥조각 디자인에서는 단순한 전통 디자인을 버리고 시대의 특색을 반영한 옥조각의 부가가치를 높여주는 문화적인 요소를 반영한 제품을 고안해야 한다. 옥 조각품 문양, 형태, 색채 등의 빈도 분석 데이터를 결합하여 소비자가 선호하는 관광문화 아이디어 상품을 고안하여야 한다. 옥조각 관광문화 아이디어 상품을시장화와 상품화, 그리고 패션화의 길을 가며, 한국과 중국 양국 간의 문화 발전을 촉진한다.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