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양분선택형(dichotomous choice) 조건부 가치측정법(CVM, contingent valuation method)에서 WTP(willingness to pay) 추정방식은 크게 효용함수에 기반하는 Hanemann방식과 가치함수, 즉, WTP 함수에 기반하는 Cameron방식이 있으며 두 방식은 쌍대관계이기 때문에 두 방식 모두 널리 활용되어 왔다. 다만 제시금액에 대하여 지불의사 거부비율이 높을 경우 활용되는 spike모형은 Hanemann모형을 기반하여 제안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치함수 즉, WTP모형에 기반한 Cameron방식을 변형하여 Cameron-spike모형을 제안하고 이의 적용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세종시 ◌◌공원 조성 사례에 대한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추정한 WTP 분석결과, 두 모형의 WTP분석결과는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Hanemann방식과 Cameron방식이 spike모형으로 변형하였을 때에도 쌍대관계가 성립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CVM의 WTP 산정과정에 있어서 선택의 폭을 넓혔다는 점에서 학술적으로 의의가 있으며, 특히 Cameron방식을 활용함으로써 WTP 산정과정에 WTP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회·경제적 변수들을 명시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In the dichotomous choic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 the willingness to pay (WTP) estimation method is largely divided into the Hanemann method based on the utility function and the Cameron method based on the value function, that is, the WTP function. Since these methods are dual relationship, both methods have been widely used. However, the spike model used when the rate of rejection of willingness to pay is high, is proposed based on the Hanemann model.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set up the Cameron-spike model and examine its applicability. As the results of WTP estimantion, WTPs of the two models were similar. This study showed that when the Hanemann method and the Cameron method are transformed into a spike model, a dual relationship can be establish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of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CVM s wide range of choices in the WTP calculation proces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