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Recently, as one of few personality traits which significantly predicts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against various social groups, the researches on the effect of social dominance orientation are substantially growing, however researches directly aimed at the effect of social dominance orientation on individual performance are still limited. In this research, from the interactionalistic approach of person-environment, based on social dominance theory and resource theor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social dominance orientation on the employee’s job performance(task performance and contextual performance), along with exploring the moderating effect of leader-member resource exchange domains(contribution exchange and affect exchange) and job meaning factor from psychological empowerment. Self-reported survey data were obtained from 345 employees from various organizations in Korea. The results showed that LMX contribution exchange buffered the negative impact of social dominance orientation on contextual performance. The interaction between social dominance orientation and LMX affect exchange affected task performance negatively, but job meaning significantly reduced the negative impact.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Highlights

  • 사회지배지향성은 사회집단 간에 위계적 관 계를 지지하거나, 우월한 집단의 지배를 옹호 하는 경향성을 뜻한다. 사회지배지향성이 높 은 사람은 위계의 장점이나 한계와 무관하게, 그리고 자신의 사회적 지위와 무관하게, 우월열등 차원의 위계 관계를 일관되게 지지하고 옹호하며, 타인과의 지위적 격차를 증진하려 고 노력한다(Ho et al, 2015). 사회지배지향성 은 사회심리나 성격심리, 정치심리 분야에서 가장 폭넓게 연구된 주제 중 하나이다. 지금 까지의 연구를 통해 사회지배지향성은 다양한 개인차 변인(예, 성격특성, 인지관련 특성)과 관련이 있고, 다른 어떤 개인차 변인보다 사 회집단 간의 차별적인 태도(예, 인종차별, 동 성애 거부, 여성인권 탄압)나, 다양한 사회정 치적 행동(예, 경제적 보수주의 지지, 보편적 복지제도 반대, 사회경제 체제에 대한 합리 화)을 주요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Altemeyer, 2004; McFarland & Adelson, 1996)

  • 개인과 환경 간의 상호작용적 관점에서 사 회지배지향성과 맥락수행, 과업수행의 관계에 개입할만한 주요한 환경요인 중 하나로 상사부하 간 관계를 고려해 볼 수 있다. 일터에서 상사는 부하의 태도와 행동을 결정하는 주요 한 사회적 맥락을 제공하며(Kaiser, Hogan, &

  • Gender was coded as female=0, male=1; Education was coded as high-school & junior college degree=0, undergraduate degree=1, master degree=2, doctoral degree=3; Manager Role was coded as non-manager=0, manager=1; SDO=Social Dominance Orientation; LMX=Leader-Member Exchange N=345, *p

Read more

Summary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최근 들어 다양한 사회집단에 대한 차별과 편견을 주요하게 예측하는 성격특성 중 하나로 사회지배지향성의 영향을 다룬 연구가 늘어나고 있으나, 사회지배지향성이 구성원 개인의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직접적으로 다룬 연구는 여전히 제한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환경 간 상호작용 관점에서 사회지배이론과 자원이론에 기반하여 사회지배지향성과 직무수행(맥 락수행, 과업수행) 간의 직접적 관계를 밝히며, 상사와의 자원교환(공헌교환. 정서교환)과 심 리적 임파워먼트의 하위요인 중 직무 의미성이 사회지배지향성과 직무수행 간 관계에 미치 는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345명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사회지 배지향성과 맥락수행은 유의한 부적 관계를 가지며, 상사와의 공헌교환 경험은 이러한 부적 관계를 완화했다. 그리고 사회지배지향성과 상사와의 정서교환 경험 간의 상호작용은 과업 수행을 부적으로 예측하지만, 높은 직무 의미성은 사회지배지향성과 상사와의 정서교환 간 의 상호작용이 가진 부적 영향을 완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 구가 갖는 의의,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과 한계점, 그리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 하였다. 면, 상사와 안정적으로 그리고 빈번하게 공헌 을 상호 교환하는 조건에서 사회지배지향성이 높은 부하의 맥락수행 수준이 더 높아질 것이 라 것이라 예상해 볼 수 있다. 제한된 개인적 자원(예, 시간, 에 너지)을 과업활동과 과업 외 활동(또는 사회적 활동)으로 분배하는 관점에서(Bergeron, 2007), 사회지배지향성이 높은 부하는 상사와의 사회 적 활동에 더 많은 자원을 투입하며, 결과적 으로 과업활동에 대한 열의나 참여는 더 낮아 질 것이라고 유추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이론적 근거와 연구결과를 두루 고 려하면, 상사와 친밀한 정서를 교환하는 조건 으로 인해 사회지배지향성이 높은 부하는 과 업활동보다 상사와의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사회적 활동을 우선시하며, 상사와의 사 회적 활동에 한정된 개인적 자원(예, 시간, 에 너지)을 더 많이 투입할 것이라 예상할 수 있 다. 앞서 기술한 것처럼, 본 연구에서는 상사와 친밀한 정서(호감, 매력, 사회적 지지)를 빈번 하게 교환하는 조건에서 높은 사회지배지향성 을 가진 부하는 상사와의 친밀한 관계에 치중 하면서 상대적으로 과업활동에 대한 열의나 참여가 낮아질 것이라 가정하였다.

Standard Deviation
Manager Role
Task Performance
Findings
Kwangwoon University
Full Text
Paper version not known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

Disclaimer: All third-party content on this website/platform is and will remain the property of their respective owners and is provided on "as is" basis without any warranties, express or implied. Use of third-party content does not indicate any affiliation, sponsorship with or endorsement by them. Any references to third-party content is to identify the corresponding services and shall be considered fair use under The CopyrightLa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