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교과를 가르치고 배워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오늘날 이 질문에 대한 가장 보편적인 대답은, 교과를 배움으로써 삶에 필요한 여러 유용한 능력들을 습득할 수 있다는 대답일 것이다. 이러한 생각은 교육에 대한 고전적 이론인 형식도야이론에서 그 뿌리를 찾아볼 수 있으며, 오늘날 역량기반교육에 이르기까지 강력한 설득력을 갖고 살아남아 있다. 그러나 교과를 이와 같이 정당화하는 것은 결국 교과를 외재적 목적을 위한 수단으로 취급하게 된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진다. ‘선험적 정당화’는 이와는 달리 교과의 가치를 교과 그 자체로부터 찾으려 하지만, 교과의 가치를 적극적으로 설명하지 않는 형식적인 정당화라는 비판을 받는다. 이 문제와 관련하여, 플라톤이 「국가론」에서 이상국가의 통치자를 기르기 위하여 제안하는 교과론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플라톤의 교과론이 교과의 정당화 문제와 관련하여 가지는 진정한 의미는, 그것을 ‘메타프락시스’라는 개념을 통하여 재해석함으로써 드러날 것이다.Why do we have to teach and learn school subjects? Nowaday, the most common answer to this question is this: By learning school subjects, we can achieve many useful competences. This idea comes from formal discipline theory, which is the oldest theory of education. Also, this idea still alive as today’s competence-based education. However, this kind of justification has a limitation: It regards school subjects as a mean to achieve extrinsic objectives. On the other hand, transcendental justification tries to find the value of school subjects intrinsically, but this justification takes criticism for negatively explaining the value of school subjects.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Plato’s curriculum to cultivate philosopher kings in Republic. In regard to justification of school subjects, the true meaning of Plato’s theory of education will be revealed by reinterpreting his theory through Metapraxi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