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울릉도의 낙엽활엽수림에 ìš°ì í•˜ê³ ìžˆëŠ” 너도밤나무를 대상으로 엽록체 반수체형(haplotype)의 다양성과 ê³µê°„ì  분포를 íŒŒì• í•˜ê¸° 위해 울릉도 ì „ì—­ì—ì„œ 채집한 총 144개체로부터 psbA-trnH 구간의 염기서열을 ê²°ì •í•˜ì˜€ë‹¤. 너도밤나무의 ê·¼ì—°ì¢ ì„ 포함하여 계통분석을 수행한 ê²°ê³¼, 너도밤나무의 엽록체 반수체형은 일본산 F. japonica와 중국산 F. engleriana 분계조와 자매관계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분석한 ëª¨ë“ ë„ˆë„ë°¤ë‚˜ë¬´ì˜ 개체들은 동일한 염기서열을 ê°–ê³ ìžˆëŠ” 것으로 나타나, 엽록체 반수체형의 다양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íŒëª ë˜ì—ˆë‹¤. 이러한 결과는 동위효소 분석에 근거한 ìœ ì „ìž 다양성이 매우 높다는 기존 연구 결과와 대비되는 것으로서, 너도밤나무는 핵 ìœ ì „ìžì˜ 다양성은 높으나 엽록체 ìœ ì „ìžì˜ 다양성은 낮은 것으로 판단되며, 이것은 두 가지 가설로 ì„¤ëª í• ìˆ˜ 있다. 하나는 너도밤나무의 조상이 울릉도로 이주하여 ì •ì°©í• ì´ˆê¸° 단계에서 엽록체 반수체형이 ì§€ì—­ì ì¸ 구조를 갖는 조상 모집단으로부터 ì¢ ìžê°€ ì§€ì†ì ìœ¼ë¡œ ìœ ìž ëœ 결과로 í•´ì„í• ìˆ˜ 있다. 다른 하나는 육지의 조상 모집단으로부터 새 또는 태풍에 의해 소수의 ì¢ ìžê°€ ìœ ìž ë˜ì–´ ì •ì°©í•œ 후, 바람에 의해 조상 모집단의 화분이 ì§€ì†ì ìœ¼ë¡œ ìœ ìž ëœ 결과인 것으로 ì¶”ë¡ í• ìˆ˜ 있다. 울릉도 내의 다양한 ê³ ìœ ìžìƒì‹ë¬¼ì˜ 기원을 ê·œëª í•˜ëŠ” 데 있어서 ëª¨ê³„ìœ ì „ì„ 함으로 인해 ì¢ ìžì˜ 이동을 ì¶”ì í• ìˆ˜ 있는 엽록체 DNA에 근거한 ë¹„êµê³„í†µì§€ë¦¬í•™ì 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주요어: 너도밤나무, 엽록체 DNA, 반수체형, 울릉도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