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chanism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role overload and three dimensions of work engagement. It was hypothesized that psychological detachment would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overload and work engagement, and the indirect effect of role overload on work engagement through psychological detachment would be conditional on job crafting and marital status. Consistent with our hypothesis,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craft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overload and psychological detachment was significant in a sample of 446 workers. That is, job crafting alleviated the negative impact of role overload on psychological detachment. The interaction between marital status and psychological detachment was also significant for vigor; however, the direction was different from what was expected. For the married, vigor was relatively constant regardless of the level of psychological detachment, but for the unmarried, the more the psychological detachment the lower the vigor. In addition, this difference was observed more for women than men. In case of women, marital status also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detachment and dedication. Although the direction was unexpected, there was a conditional indirect effect of role overload on vigor and dedication through psychological detachment depending on the level of job crafting and marital status combined with sex differences. There was no conditional indirect effect for absorption.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Highlights

  • * 본 논문은 김유경(전남대학교, 2018)의 석사학위 논문을 수정 및 보완한 것임. 석사학위 논문의 심사위 원장님께 감사의 인사를 드림(전남대학교의 강영신 교수). 또한 본 논문에서 사용한 자료의 일부가 2017 년 한국 산업 및 조직심리학회의 추계학술대회에서 포스터로 발표되었음

  • 이십일 세기 이전의 심리학은 주로 정신적 문제(mental illness) 등 부정적인 현상에만 주목 하고 긍정적인 현상은 간과하였으며(Myers, 2000), 이런 편파는 직업건강심리학에서도 관 찰된다(Bakker, Schaufeli, Leiter & Taris, 2008). 과거 직업건강심리학이 직무탈진(job burnout) 에 많은 주의를 기울인 것이 그 예이다. 그렇 지만 최근 긍정심리학을 필두로 직무탈진의 반대개념인 직무열의(work engagement)의 효과 와 중요성이 알려지면서 직무열의를 조사하는 연구가 많아지고 있다(Bakker et al, 2008). 본 연구는 최근의 흐름에 따라 직무열의의 저하 방지 기제를 조사하고자 한다

  • 조직은 조직구성원들에게 업무 자율성을 제공하여 잡 크래프팅을 높일 수 있고, 결과 적으로 역할과부하가 심리적 분리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Read more

Summary

Introduction

본 연구는 역할과부하와 직무열의(활력, 헌신, 몰두) 간 관계의 메커니즘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먼저, 역할 과부하와 직무열의 간 관계에서 심리적 분리의 매개효과를 제안하였고, 매개효과가 잡 크래프팅 수준과 결혼 여부에 따라 조건적으로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직장인 446명을 대상으로 회귀분석을 진행한 결과, 역할과부하와 심리적 분리의 관계에서 잡 크래프팅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고, 가설과 같이 역할과부하와 심리적 분리 간 부적 관계를 잡 크래프팅이 완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분리와 활력 간 관계가 결 혼 여부에 따라 조절되기는 하였으나 상호작용의 방향이 가설과 다르게 나타났다. 기혼은 심리적 분리에 관계없이 활력의 수준이 비교적 일정했지만, 미혼은 심리적 분리가 높아질수록 오히려 활력이 낮아졌고, 이러한 차이는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더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또한, 심리적 분리와 헌신 간 관계에서도 여성의 경우에 한하여 결혼 여부의 조절효과가 비슷하게 나타났다. 심리적 분리와 결혼 여부 간 상호작용 의 방향이 예상과 달랐지만, 활력과 헌신에 대한 역할과부하의 간접효과는 조절변인들의 수준에 따라 다 르게 나타났다. 즉, 심리적 분리의 조건적 매개효과가 실질적으로 나타났다. 한편, 몰두에서는 심리적 분 리의 매개효과가 어떤 조건에서도 나타나지 않았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의의, 제한점 및 시사점을 제시 하였다. 먼저, 역할과부하와 직무열의 간 관계를 설 명하는 경로를 확인하기 위해 심리적 분리의 매개효과를 알아볼 것이다. 리와 헌신 간 관계를 조절하여, 기혼에 비해 미혼에게서 심리적 분리와 헌신 간 정적 관계 가 더 강화될 것이며, 이러한 차이는 남성보 다 여성에게서 더 크게 나타날 것이다.

Results
Conclusion
Full Text
Paper version not known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