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충청, 전라권 소재 대학교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 유아교사 341명을 대상으로 ADHD에 대한 지식 정도 및 교사의 ADHD 유아 교수 효능감에 대해 알아보았다. 조사는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분석에는 t-test, ANOVA 등의 통계방법이 사용되었다. 조사 결과 ‘ADHD 행동특성에 대한 지식’에서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고, ‘ADHD 원인에 대한 지식’에서 가장 낮은 응답률을 보였다. ADHD에 대한 지식정도는 학년과 ADHD 관련 교과목 수강여부에 따라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비 유아교사의 ADHD 유아 지도에 대한 교수 효능감은 전체 평균 2.22로 ‘그렇지 않은 편이다’ 수준으로 나타났다. ADHD 유아에 대한 교수 효능감은 학년, ADHD 관심여부, ADHD 유아 접촉 경험 여부, ADHD 관련 교과목 수강여부에 따라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예비 유아교사들을 위한 ADHD 관련 지식 습득에 대한 필요성과 ADHD 유아 교수 효능감 향상을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knowledge level and teaching efficacy about ADHD in 341 pre - 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ttend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s in Chungcheong and Jeolla provinces. Data were gathered by using survey method. To analyze data, statistical methods such as t-test and ANOVA were used. The results showed the highest rate of correct answers in ‘Knowledge of ADHD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the lowest rate of ‘ADHD knowledge’. The level of knowledge about ADHD was found to be different among the groups according to the grade and the experience taking ADHD related courses. In addition, the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teachers on ADHD instruction was relatively low.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efficacy for ADHD children was found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grade, ADHD interest, experience with ADHD children, and experience taking ADHD related cours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ed the necessity of acquiring knowledge about ADHD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how to improve their teaching efficacy for ADHD children.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