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세계사적으로 볼 때 소는 인간 사회 발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끼친 가축 중 하나로서 농업을 기반으로 한 우리나라 역사에서도 큰 의미를 가진다. 이 때문에 소가 가축화 된 시기와 그 확산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는 일은 전통 사회 형성과 발전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현재까지 동물고고학 및 유전학적 연구결과에 따르면 소는 약 1만여년 전 세계 각지에 널리 분포했던 야생 소 중 일부가 근동지방 및 인도에서 각각 가축화된 것으로 판단된다. 두 지역 소는 각각 (혹 없는) 소(Bos taurus ) 및 인도혹소(Bos indicus ) 인데, 이 중 우리가 볼 수 있는 혹 없는 소는 모두 근동지방 사육 소의 후손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최근에는 근동지방 외 다양한 지역에서 야생 소 사육이 별도로 시도되었거나 야생 소의 유전자가 사육 소에 소수이지만 전달되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보고도 있다. 본고에서는 근래 동아시아 지역에서 새로이 발견된 야생 소 유전형에 대한 보고와 사례를 살펴보고 이에 따라 향후 우리나라 옛 소 뼈 개체에 대한 연구 검토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y, the cattle is one of the livestocks that have the greatest influences on the development of human society. Therefore, revealing the origin and the spread of domesticated cattle is important in understanding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raditional societies. To date, archeological and genetic studies show that the cattle was originated by the domestication of Bos primigenius (aurochs) which was widely distributed around the world almost about 10,000 years ago. The domestication of cattle occurred in the Near East and India; Bos taurus was domesticated in the former and Bos indicus in the latter. Nowadays, almost all of the B. taurus we could see are descendants of the Near-east origin Bos primigenius . In this paper, we summarize reports on the newly discovered aurochs genotype from East Asia and present the future prospect of related studies on the ancient cattle bones that will be discovered in Korea.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