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son-job (P-J) fit and turnover intention. P-J fit was measured using demands-abilities (D-A) fit on two job dimensions: social interaction and leadership. Psychological empowerment was assessed using four sub-types: meaning, competence, self-determination, and impact. First, we investigated whether mismatch between job demands and personal abilities would be related to increased turnover intention. We also examined whether psychological empowerment would mitigate these relationships. Data were collected from 415 full-time workers. The results from polynomial regressions showed that the relationships of D-A fit with turnover intention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direction and the dimensions of misfit. The interaction between D-A fit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was found as expected in seven out of eight cases in total, except for the interaction between D-A fit in social interaction and competence. These results imply that psychological empowerment, as a job resource, could ameliorate the negative impacts of P-J misfit on turnover intention.

Highlights

  • 본 연구는 개인-직무 부합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조절효과를 보이 는지를 검정하였다. 개인-직무 부합은 사회관계 차원과 리더십 차원에서의 요구-능력 부합으 로 측정하였고,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의미, 유능감, 결정력, 그리고 영향력의 네 가지 하위차 원으로 측정하였다. 먼저 개인 능력과 직무 요구가 서로 불일치할 때 이직의도가 증가하는 지 조사하고, 나아가 그러한 관계를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완화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전일제 근무 직장인 415명을 대상으로 다항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요구-능력 부합과 이직의도 간 의 관계는 개인 능력과 직무 요구의 불일치 방향에 따라 각각 다른 양상을 보였다. 요구-능 력 부합과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상호작용 효과를 알아본 결과, 사회관계 차원에서의 요구-능 력 부합과 유능감의 상호작용 효과만 제외하고 나머지 일곱 개의 결과에서 예측한 방향대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개인과 직무가 불일치할 때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부여하는 것이 개인-직무 불일치의 부정적 결과인 이직의도를 경감시키는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 그림 5를 보면, 유능감을 적게 지각할 경우(왼 쪽), 요구가 능력보다 커질수록 이직의도가 높 아지며, 능력이 요구보다 커질 경우에도 이직 의도가 높아지는 비선형적 관계가 나타났다. 그러나 유능감이 높을 경우(오른쪽), 요구-능력 수준에 따른 이직의도의 차이가 별로 없었다. 따라서 가설 4-2가 지지가 되었다

  • 그러나 상황에 따라서 그렇게 하지 못할 수도 있으므로, 이런 상황에서는 조직이 직원으로 하여금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같은 자원을 지각하게 해 준다면, 요구가 능력보다 크거나 작은 두 경우 모두에서 개인의 이직의 도를 줄여 조직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Read more

Summary

Introduction

본 연구는 개인-직무 부합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조절효과를 보이 는지를 검정하였다. 개인-직무 부합은 사회관계 차원과 리더십 차원에서의 요구-능력 부합으 로 측정하였고,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의미, 유능감, 결정력, 그리고 영향력의 네 가지 하위차 원으로 측정하였다. 먼저 개인 능력과 직무 요구가 서로 불일치할 때 이직의도가 증가하는 지 조사하고, 나아가 그러한 관계를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완화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전일제 근무 직장인 415명을 대상으로 다항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요구-능력 부합과 이직의도 간 의 관계는 개인 능력과 직무 요구의 불일치 방향에 따라 각각 다른 양상을 보였다. 요구-능 력 부합과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상호작용 효과를 알아본 결과, 사회관계 차원에서의 요구-능 력 부합과 유능감의 상호작용 효과만 제외하고 나머지 일곱 개의 결과에서 예측한 방향대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개인과 직무가 불일치할 때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부여하는 것이 개인-직무 불일치의 부정적 결과인 이직의도를 경감시키는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개인의 능력이 직무의 요구보다 더 큰 상황 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조절효과는 Erdogan 과 Bauer(2009)의 연구에서 확인되었다. Erdogan 과 Bauer(2009)는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개인의 능력이 직무의 요구보다 큰 상황에서 나타날 수 있는 낮은 직무만족이나 높은 이직의도를 완화할 수 있음을 보고했다.

Results
Conclusion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

Disclaimer: All third-party content on this website/platform is and will remain the property of their respective owners and is provided on "as is" basis without any warranties, express or implied. Use of third-party content does not indicate any affiliation, sponsorship with or endorsement by them. Any references to third-party content is to identify the corresponding services and shall be considered fair use under The CopyrightLa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