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 · 고등학생의 수면시간의 특성과 정신건강 문제, 영양섭취 상태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2007~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바탕으로 총 5,489명(중학생 2,795명, 고등학생 2,694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수면시간과 정신건강과의 연관성은 로지스틱 회기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수면시간과 영양 섭취량의 연관성은 일반선형모델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면시간을 분석한 결과, 중학생이 고등학생보다 평균 수면시간이 더 많았다 (P<0.0001). 둘째, 수면시간과 정신건강 문제의 관련성은 중학생의 경우 수면시간이 증가할수록 스트레스 인지율(P<0.0001)과 자살생각 여부(P=0.0005)는 유의적으로 더 낮게 나타났다. 고등학생은 수면시간이 6-7시간인 그룹이 6시간 미만인 그룹에 비해 자살생각이 53% 더 적었고, 7-8시간인 그룹이 6시간 미만인 그룹에 비해 자살생각이 37% 더 적었다. 수면시간에 따른 스트레스 인지 여부의 연관성은 중학생과 고등학생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for interaction=0.02). 셋째, 수면시간에 따른 주요 영양소 1일 섭취량은 고등학생의 경우 수면시간이 9시간 이상인 그룹에서 비타민C의 섭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3). 넷째, 수면시간에 따른 영양소 섭취상태는 고등학생의 경우 수면시간이 길수록, 인, 리보플라빈, 나이아신, 비타민C가 영양소 적정비와 평균영양소 적정비가 증가하였다. 청소년의 수면시간과 스트레스 인지와 자살생각 그리고 영양소 섭취상태는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기 수면이 가지는 정신적 중요성을 강조하고, 영양교육의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evance of mental health and nutritional intake according to the sleep duration of Korean adolescents. This study was based on data from the 2007-2016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NES), including 5,489 total subjects (2,795 middle school students, 2,694 high school students). The association between sleep duration and mental health was analyzed using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the link between sleep duration and nutritional intake was analyzed via a generalized linear model. An analysis of sleep duration showed that middle school students had a higher average sleep duration than high school students (P<0.0001).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duration and mental health showed that middle school students had lower rates of stress perception (P<0.0001) and suicidal ideation (P=0.0005) as their sleep duration increased. High school students had 53% less suicidal ideation in the group getting 6-7 hours compared to the group getting less than 6 hours, and 37% less suicidal ideation than the group getting 7-8 hours. The link between sleep duration and stress percep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both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P for interaction=0.02). An analysis of the daily intake of major nutrients according to sleep hours found high intake of vitamin C in groups where high school students slept more than nine hours (P=0.003). The state of nutritional intake according to higher sleep dura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higher intake of phosphorus, riboflavin, niacin, and vitamin C in Nutrient Adequacy Ratio for high school students. In conclusion, adolescents’ sleep duration is associated with stress perception, suicidal ideation and nutritional intake. Therefore, this study emphasizes the mental importance of adolescent sleep and can be used as a basis for nutrition education.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