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Although scholars have paid increasing attention to people with callings, relationships between leader's calling and follower's job attitudes have been understudi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 calling and follower job satisfaction, and mediators and a moderator on the relationship. We hypothesized that leader calling would be positively related to follower job satisfaction via follower's perceive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ccupational self-efficacy and that the two mediators would be positively related. As a boundary condition, we tested a moderating role of job crafting on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leader calling and follower occupational self-efficacy. To examine the hypotheses, we conducted two survey studies using a sample of 242 Korean working adults (Study 1) and a sample of 221 American working adults in diverse industries (Study 2). We foun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leader calling and follower job satisfaction (Study 1) an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the relationship (Studies 1, 2). In both studies, follower occupational self-efficacy mediated the link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follower job satisfaction rather than directly med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 calling and follower job satisfaction. Also, when followers were highly involved in job crafting (Study 1) and cognitive crafting (Study 2), their occupational self-efficacy did not vary depending on the level of leader calling. Interestingly,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 calling and follower occupational self-efficacy was negative when followers showed low levels of job crafting and cognitive crafting. We discuss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study limitations, and practical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Highlights

  • happy to work with leaders viewing their work as a calling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 calling and follower job satisfaction

  • We hypothesized that leader calling would be positively related to follower job satisfaction via follower's perceive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Read more

Summary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소명과 관련된 연구는 증가하고 있지만 개인의 소명이 타인에게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연구는 거의 진행 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상사의 소명과 부하의 직무만족의 관계 및 해당 관계의 매개변인 및 조절변인 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부하가 지각하는 상사의 소명과 부하의 직무만족은 정적 관계를 가질 것이 라고 가정하였고, 이 관계를 부하의 직업적 자기효능감과 부하가 지각하는 변혁적 리더십이 매개할 것이 라고 가설을 설정하였고 두 매개변인 간 정적 관계를 가정하였다. 또, 부하가 일에서 의미를 찾으려는 활 동인 잡 크래프팅을 할수록 상사의 소명과 부하의 직업적 자기효능감의 관계가 강해질 것이라 예상하였 다. 해당 가설을 확인하기 위해 국내 대기업에 근무하는 직장인(연구 1)과 미국 내 다양한 직종에 종사하 는 직장인(연구 2)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부하가 인식하는 상사의 소명과 부하의 직 무만족은 정적 관계를 지녔으며(연구 1) 해당 관계는 변혁적 리더십을 통해 매개되었다. 연구 1과 연구 2 에서 모두 직업적 자기효능감은 변혁적 리더십을 통해서만 상사의 소명과 부하의 직무만족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부하가 잡 크래프팅을 많이 하거나(연구 1) 잡 크래프팅의 한 종류인 인지가공을 많 이 할 경우(연구 2), 상사의 소명 수준에 관계없이 직업적 자기효능감이 높았지만, 부하의 잡 크래프팅 및 인지가공의 수준이 낮을 경우, 상사의 소명과 부하의 직업적 자기효능감은 부적 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 및 실무적 시사점, 그리고 한계와 미래 연구 방향을 논의하 였다. 연구 1과 연구 2 에서 모두 직업적 자기효능감은 변혁적 리더십을 통해서만 상사의 소명과 부하의 직무만족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상사의 소명은 부하의 직무 만족과 정적 관계를 갖고 상사의 소명과 부하 의 직무만족의 관계는 부하가 지각하는 자신 의 직업적 자기효능감 및 상사의 변혁적 리더 십 수준이 설명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하였 다. 상사의 소명은 부하가 지각한 변혁적 리더 십을 통해서 뿐 아니라 부하의 직업적 자기효 능감을 통해 부하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상사의 소명과 부하의 직업적 자기효능감의 관계에 있어서 부하가 상사의 소명을 적극적 으로 인지하고 자신의 일에서 의미를 개발하 는 행동을 할 경우 직업적 자기효능감이 더 증가할 것이다. 측정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상사 의 소명, 부하가 지각한 변혁적 리더십, 부하 의 직업적 자기효능감, 직무만족, 잡 크래프 팅의 5개 요인과 상사의 소명과 지각된 변혁 적 리더십을 하나의 요인으로 설정한 4개 요 인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조절효과가 조절변수의 수준 (±1SD)에 따라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확인하기 위해 단순기울기 검증을 추가적으로 실시하였고(Aiken & West, 1991), 결과를 그림 2에 제시하였다. 부하의 잡 크래프팅 수준이

SE t
Findings
Young Woo Sohn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

Disclaimer: All third-party content on this website/platform is and will remain the property of their respective owners and is provided on "as is" basis without any warranties, express or implied. Use of third-party content does not indicate any affiliation, sponsorship with or endorsement by them. Any references to third-party content is to identify the corresponding services and shall be considered fair use under The CopyrightLa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