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최근 집중호우로 인하여 산사태가 발생한 후 토석류를 형성하여 계곡 하류부에 위치한 주거지역에 큰 피해를 발생시키고 있다. 그동안 산사태 및 토석류 위험도 관련 연구는 산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사면의 위치를 찾아내는 기술에 집중되어 왔다. 이러한 기술들은 산지에 위치한 붕괴 가능성이 높은 지점들을 식별할 수는 있으나 산지 주변지역의 피해 위험지역 식별과는 거리가 있어 활용성이 제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Initiation Model과 Runout Model을 이용하여 산사태 위험도와 토석류 피해위험지역 분석 사이에 연계성을 부여하여 산사태 위험지역과 더불어 토석류의 이동경로 및 토석류 피해예상지역의 범위를 광역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기법을 통해 산사태 위험지역과 토석류 위험지역, 그리고 피해위험지역을 광역적으로 스크린 하는 도구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향후 소중한 인명과 재산 피해를 줄이기 위한 방재계획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landslide due to heavy rains which generates debris flow, cause damages in the residential areas located in the valley. So far, landslide and debris flow risk studies have focused on the technology to find potentiality of a landslide in a region given a certain position. These techniques help to find a possible collapse position of a mountain, however the availability has been limited because it does not locate the debris flow risk zone for a given residential area around the mountain.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method to evaluate a broad area of landslide and debris flow risk for the mountain adjacent to a residential area by using the initiation and runout analysis model by linking the landslide risk analysis with the debris flow risk analysis. The method presented in this study will be useful tool to find identify the landslide and debris flow risk zone for broad area. This method is also expected to contribute in establishing a plan for damage and loss reduction.

Full Text
Paper version not known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

Disclaimer: All third-party content on this website/platform is and will remain the property of their respective owners and is provided on "as is" basis without any warranties, express or implied. Use of third-party content does not indicate any affiliation, sponsorship with or endorsement by them. Any references to third-party content is to identify the corresponding services and shall be considered fair use under The CopyrightLa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