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문화예술교육정책에 힘입어 지난 10년간 학교와 사회의 다양한 영역에서 ‘가르치는 무용가(dance teaching artist)"의 일자리가 늘어난 것은 고무적인 일이었다. 그러나 계약직이라는 고용불안과 처우, 직무환경의 개선 등 현실적으로 직면하는 어려움들은 여전히 산적해 있다. 이러한 현안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전문성을 발굴하고 입증해 내는 학문적, 실천적 노력들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그들이 어떤 역할을 하는 사람들인지, 교육현장과 사회에서 어떠한 기여를 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들의 전문성은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언급할 필요가 있다. 이에 이 연구는 ‘가르치는 무용가’의 전문성 형성과정에 관한 근거이론 접근을 시도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총 223개의 개념어, 33개의 하위범주, 14개의 상위범주로 범주화하였으며 이 중 역할정의, 핵심가치, 창의적 과정을 포함하는 ‘가르치는 무용가의 문화예술교육 전문역량’을 중심현상으로 보았다. 이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들로, ‘학위와 자격’, ‘필연적인 교수경로’를 인과적 조건으로, 그리고 ‘문화복지 확대’와 ‘전문인력 제도’를 맥락적 조건으로 도출하였다. 또한 ‘열악한 처우’, ‘이상과의 간극’, ‘역할 혼합성’의 중재적 조건과 ‘예술적 상호작용’, ‘맥락의 확장’, ‘집단 지성화’ 등의 상호작용전략 속에서 결과적으로 ‘교육자와 예술가 사이의 균형’, ‘학교-사회의 창조적 매개’, ‘무용교육의 층위 높이기’의 실천을 지향하고 있다는 상황적 관계를 진술하였다. 둘째, 이 연구는 선택코딩을 통해 ‘학교와 사회에서 무용을 통해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를 실천하며 가르치는 무용가로 성장하기’를 핵심범주로 도출하였으며, 무용교육 실행의 가치지향점이라는 속성에 따라 ‘무용치유 중심형’과 ‘창의교육 중심형’의 유형화를 도출하였다. 끝으로 이 연구는 무용교육의 전문성 개발이라는 화두가 더 이상 장르중심 교육에 국한하지 않고, 문화예술교육의 환경과 그 패러다임 변화에 부응할 수 있는 융복합의 확장된 영역을 추구하고 있으며, 정체된 전문성이 아닌 지속적으로 개발되어지는 과정의 산물로 그 형성 과정을 보아야 한다는 관점에서 Strauss와 Corbin(1998)의 근거이론을 토대로 과정과 맥락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approach the grounded theory on dance teaching artists" professional competency formation process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For the foregoing, this study analyzed the process of dance teaching artists" professional competency formation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based on Strauss and Corbin(1998)’s coding paradigm. It was categorized as 223 concept words, 33 subcategories and 14 upper categories, and the result of axial coding is as follows. While competency of dancers who teach role definition, core values and creative process were considered a center phenomenon, degree and qualification, customary image of dance educator and teaching experience affecting the aforementioned were regarded as causal conditions, and contextual conditions were in interpreted to be based on the expansion of culture and welfare with professional manpower system. In addition, it was interpreted to cause the results such as balance between educator and artist, creative intermediation between school-society, raising the level of dance education through interaction strategies like expansion of artistic interaction, context and collective intellectualization etc. in the interventional conditions such as poor treatment, gap with ideals, mixed role etc. According to the selective coding, this study stereotyped dance teaching artists" professional competency into dance healing-oriented type and creative education-oriented type on the basis of attribute which is a value directing point of the execution of dance education, deducting ‘Growing to a dancer who teaches with professional competency fulfilling the value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 schools and communities’ as a core category.

Full Text
Paper version not known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

Disclaimer: All third-party content on this website/platform is and will remain the property of their respective owners and is provided on "as is" basis without any warranties, express or implied. Use of third-party content does not indicate any affiliation, sponsorship with or endorsement by them. Any references to third-party content is to identify the corresponding services and shall be considered fair use under The CopyrightLa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