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그래픽 조직도가 어떻게 읽기와 쓰기를 연계한 통합 지도를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지에 관한 것이다. 특별히 본 연구의 목적은 그래픽 조직도가 독해와 이어지는 쓰기활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다양한 그룹이 속한 서울의 초등학교 방과 후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8주 동안 12명의 초등학생들이 뉴스를 통한 읽기 지도를 받았으며 본 연구를 위하여 2명의 상위권 학습자와 하위권 학습자를 선택하여 읽기와 쓰기 능력 향상에 있어서의 변화를 중심으로 양적, 질적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그래픽조직도의 사용을 통한 읽기 및 쓰기 연계 지도는 독해에서 높은 수준과 낮은 수준의 학습자 모두에게 향상을 주었고 낮은 수준의 학습자는 퀴즈 점수와 속도에 있어서 특히 향상을 보였다. 또한 낮은 수준의 학생들의 쓰기에 있어서의 조직과 내용에 있어서의 향상에 도움을 주었으며, 높은 수준의 학습자들에게는 단어 선택과 쓰기 규정에서의 향상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그래픽 조직도의 사용은 읽기와 쓰기에서 다르게 작용하였지만, 두 개의 수준이 다른 학습자 모두에게 각각 긍정적으로 작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