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인간의 위치 이동 데이터를 모바일 기기에서 수집한 위치 정보를 이용해 얻을 수 있게 되면서, 위치 정보를 어떻게 이용할 수 있는지 그 활용 방안이 중요시 되고 있다. 이 연구에 앞서 위치 정보에 포함된 위치 정보와 시간 정보를 이용한 개인 이동성 모델 도출 연구가 선행되었다. 이동성 모델의 개념을 집단으로 확장하여 특정 집단에 속한 사람들의 개인 이동성 모델을 이용한 집단 이동성 모델을 도출하는 방법에 대해서 연구했고, 두 명의 개인 이동성 모델을 이용한 집단 이동성 모델과 그 모델을 표현하는 Markov 모델을 생성할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세명 이상의 개별 이동 모델을 포함하는 사람의 이동성 모델을 생성하고 집단 모델 내 군집간의 확률 기반 Markov 모델을 도출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또한 GPGPU 기법을 통해 생성 시간을 줄이는 기법을 이용하여 실용화를 고려하였다. The current advancement of mobile devices enables users to collect a sequence of user positions by use of the positioning technology and thus the related research regarding positioning or location information are quite arising. An individual mobility model based on positioning data and time data are already established while group mobility model is not done yet. In this research, group mobility model, an extension of individual mobility model, and the process of establishment of group mobility model will be studied.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of group mobility model from two individual mobility model, a group mobility model with more than two individual model has been established and the transition pattern of the model is represented by Markov chain. In consideration of real application, the computing time to establish group mobility mode from huge positioning data has been drastically improved by use of GPGPU comparing to the use of traditional multicore system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