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2018. 대학 수준의 한국어 학습자의 상호문화 간 소통역량 발전 연구. 국제한국어교육 4(2). 49-79. 2000년대 초부터 영국을 비롯한 유럽에서의 한국어교육은 학습자들의 수는 물론 교육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기관의 수에서 크게 발전하였다. 또한 세계화에 따른 이동의 편리함 등으로 인해 단기연수 혹은 교환학생 프로그램 등을 통해 한국의 언어와 문화를 경험하는 학생들의 수도 매우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서로 다른 문화 차이를 이해하고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인 상호문화간 소통역량(Intercultural Competence)이 언어교육에서 중요한 능력 중하나로 떠오르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문화간 감수성 발달이론 (Developmental Model of Intercultural Sensitivity, DMIS)에 기초하여 상호문화적 역량의 정도를 알아보는 척도인 IDI (Intercultural Development Inventory)를 이용해서 영국의 대학교에서 한국어를 공부 하는 1학년 학습자들의 상호문화적 역량이 1년 사이에 어떻게 발전하는지 알아보고 어떠한 변인들이 이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학습자들은 대체로 상호문화적 역량이 일부 발전했으나 그차이는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어 프로그 램을 시작하기 전의 다른 외국어 학습경험은 학습자들의 초기 상호문화적 역량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그 외에 해외 체류 경험이나 재학 기간 중 한국 사람들과의 교류경험 변인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전반적인 대학 한국문화교육 커리큘 럼과 특히 교환학생 프로그램 전후에 상호문화간 역량을 키울 수 있는 프로그램의 적극적인 개발 필요성과 문화지식의 전달자가 아닌 학생들이 직접 자신의 경험과 지식을 통합하고 해석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있는 ‘문화적 지도자’로서의 한국어 교사역할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소아스, 런던대학교)Hyejin Jang. 2018. Exploring The Development of Intercultural Competence of Korean Language Learners at University Level.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4(2), 49-79. This paper sought to explore the development of first-year undergraduate students who took Korean at a university in London. Firstly, it looks at how the proliferation of contemporary Korean culture shaped the new landscap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how the notion of intercultural competence (IC) has emerged in an era of globalisation. Secondly, it examines overall issues in culture teaching and how the concept of ‘intercultural’ has developed in the context of KFL. Next, it presents research data on the IC development of undergraduate Korean language students in the UK and examines variables that might correlate to its development. The research findings revealed that the degree to which KL students develop their IC varies; although some gained IC to some degree, there were some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a significant regress, which brought the average down as a consequence. Of variables, foreign language learning experienc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initial level of IC whereas experience of living abroad and intercultural interaction with Korean speakers did not show a significant correlation. The research finding advocates that KL students’ IC should be facilitated and intervened in the classroom. Also, it suggests pre- and post- Study Abroad programme with a special focus on IC that will guide throughout the entire Study Abroad experience. Lastly, it suggests a paradigm shift in culture teaching from teaching-centred to learning-centred and proposes cultural mentors who play the role of a guide and co-researchers in the students’ culture learning process. (SOAS, University of London)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