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주우동. 2018. 한국어 학습자 중간언어 통사적 복잡성 연구: 한국어 문어 숙달도 측정 지표로서의 적절성. 국제한국어교육 4(2). 249-274. 이 연구는 학습자의 구문적 복잡성에 대한 적절한 대책을 찾기 위해 한국어 통사 구조에 맞춰진 T-unit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 텍스트를 분석했다. 그 결과는 거의 모든 지표가 상당히 증가할 것으로 보였다. 그 중에서 문장 당 절 수, 문장 당 단어 수, 무오류 문장 당 단어 수, 복문 비율, 문장 당 대등절 수, 문장 당 내포절 수가 한국어 학습자의 통사적 숙달도를 판별할 수 있는 유효한 지표로 검증 되었다. 그리고 국적에 대한 분석 결과는 일본어권 학습자들은 중국인 학습자들보다 전체적으로 문장을 복잡하게 쓰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중에서 중급과 고급에서는 모두 문장 당 절 수, 문장 당 종속절 수, 문장 당 내포절 수가 더 유의미하게 많이 사용되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연세대학교)ZHU YUTONG. 2018. A Study of Interlanguage Syntactic Complexity of Korean Learner: the relevance of korean writing proficiency measuring indicators.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4(2), 249-274. This study analyzed Korean Language learners writing text using T-unit analysis measure that was adapted to Korean syntactic structure in order to find out adequate measures for learners syntactic complexity. The result appeared almost all measures to be increased significantly. Among those, average number of clauses per sentence, average number of words per sentence, average number of words per no-error sentence, the proportion of complex sentence, average number of coordinate clause per sentence, average number of embedded sentence per sentence might be the best measures of syntactic complexity. And the results on nationality is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verage number of clauses per sentence, average number of clauses per no-error sentence, average number of words per clauses, the proportion of no-error sentence, average number of coordinate clause per sentence, average number of embedded sentence per sentence. (Yonsei University)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