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ere 1) to identify criterion-related validity of the developed Honesty test using situation judgment test format and 2) to test mediating role of moral disengagement process including self-sanction. For these purpose, the situational judgment test measuring sub-constructs (i.e., sincerity, fairness, greed avoidance and modesty) of honesty-humility factor in HEXACO model(Lee & Ashton, 2004) was developed. eria(i.e.,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task performance and contextual performance). Total 365 employees(male, N=170, 46.58%; female, N=195, 53.42%) were used in the study. The Honesty test developed in the study included 24 items(i.e., 6 items for each 4 sub-constructs).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analyses results showed that the Honesty test using situational judgment test format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r = -.49) and task performance(r = .39).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revealed that the effects of honesty on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was mediated by moral disengagement process and the direct effect of honesty on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was also significant. Overall goodness of fit indexes of this model were favorable except for the chi-square value(χ2(32) = 50.44, p = .0202, CFI = .990, TLI = .986, RMSEA = .040).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Highlights

  • 본 연구의 목적은 두 가지이다. 하나는 상 황판단검사 형식으로 측정한 정직성이 과업수 행과 반생산적 업무행동을 예측하는지를 확인 하는데 있다. 두 번째 목적은 정직성이 반생 산적 업무생동을 일으키는 과정에서 도덕적 해이가 매개하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 본 연구에서 확인하고자 하는 다른 한 가지 는 정직성이라는 성격특성과 비윤리적 행동간 의 단순한 관계 파악 이상으로 정직성이 비윤 리적 행동을 억제하거나 부정직성이 유발하는 기제를 알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 가 정하는 이 기제는 도덕적 해이이다

  • 으로 성격척도를 제작했을 때 가지는 주요 장점은 질문에 대한 동의정도를 표시하는 Likert-type의 자기보고식 성격검사에 비해 응 답왜곡 정도가 낮다는데 있다. 상황판단형식 검사의 행동 선택지들은 사회적 바람직성 정 도가 유사하여 어떤 행동을 선택하는 것이 좋고, 나쁜지를 쉽게 알 수 없어 응답왜곡을 유도하더라도 응답왜곡을 잘 하지 못하게 구 성되어 있다(Kanning & Kuhne, 2006; Nguyen, Biderman, & McDaniel, 2005). 또한 모의 상황을 업무상황으로 구성하여 자신이 가장 할 것 같 은 혹은 안 할 것 같은 업무행동을 선택하게 하면 업무수행을 잘 예측한다는 장점이 있다

Read more

Summary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본 연구의 목적은 상황판단검사 형식으로 제작된 정직성 척도가 과업수행과 반생산적 업무 수행을 예측하는지와 부정직성이 비윤리적 행동을 유발하기 전에 이를 허용해주는 도덕적 해이과정(moral disengagement process)이 매개변수로 작용한다는 것을 검증하는 데 있다. 이에 반해 정직성이 낮은 사람들은 자신의 목적을 위해 관계를 맺 거나 아부하고, 개인의 이익을 위해 법이나 규칙을 무시하며, 부와 사치, 사회적 지위를 중시하고, 다른 사람 위에 있다는 특권의식 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이기범, 애쉬튼, 2013; Lee & Ashton, 2004). 따라서 조직과 조직구성원에게 의도적으로 해를 끼치는 반생산적 업무행동은 윤리적 행동에 반하는 행동이므로 도덕적 해 이와 정적 관련성을 보일 가능성이 있다. 이에 반해 도덕적인 신념(인지적 요소) 또는 태도를 바꾸는 인지과정(cognitive process)인 도덕적 해이는 비윤리적 행위를 억 제하는 신념을 무력화시켜 비윤리적 행동을 가능하게 하는 정직성과는 반대되는 특성이다. 정직성의 준거 예측력에 대한 Oh 등(2014) 연구는 정직성이 반생산적 업무행동, 맥락수 행, 과업수행 순으로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하였다.

Model Difference
Total Effect Direct Effect Indirect Effect
Findings
Daegu University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