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개정 누리과정의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실천하면서 만3세반 보육교사가 경험하는 어려움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그에 따른 지원요구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어린이집에서 만3세반을 담당하는 보육교사 2인을 대상으로 2021년 2월 20일에 예비면담을 진행하였고, 어린이집에서 만3세반을 담당하는 보육교사 10명을 대상으로, 2021년 2월 25일부터 2021년 6월 19일까지 개별면담 2회와 집단면담 2회로 나누어 본 면담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Colaizzi(1978)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신뢰도 확보를 위해 삼각검증법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개정 누리과정의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실천하면서 겪는 어려움으로, 만3세반 보육교사는 만3세 유아의 발달특성과 지원요구의 허용 정도, 놀이 확장을 위한 공간구조 및 오래된 습관으로 인한 실천의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둘째, 개정 누리과정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천에 따른 지원요구로, 만3세반 보육교사는 만3세반에서 활용할 수 있는 놀이실천 및 보육공간 활용에 관한 사례 지원, 교사 대 아동 비율 하향 요구 및 부족한 인력에 대한 보충을 요구하고 있었다. 결론 만3세반 보육교사가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효율적으로 실천하기 위해 다양한 놀이 실행사례와 문서자료 및 부족한 인력 지원, 단계적인 교육지원, 교사 대 아동 비율 조정에 대한 정책적 지원 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가 만3세반 보육교사들에게 개정 누리과정의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효율적으로 실천하기 위한 내실화 방안 마련 및 보육정책 입안자들에게 보육정책 수립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