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이 연구는 이러닝 교수설계자의 역량모델을 개발하고자 수행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역량모델링을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관련 문헌조사 및 우수 수행자 5인을 대상으로 행동사건면접(BEI)을 실시하여 잠정적 역량 모델 초안을 도출하였고, 전문가 그룹 5인의 타당성 검토를 거쳐 최종 역량모델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이러닝 교수설계자의 경력에 따른 교육 우선순위를 파악하기 위해 현장 이러닝 교수설계자 80명을 대상으로 보리치 요구도를 활용하여 경력에 따른 교육요구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이러닝 교수설계자가 갖추어야 할 역량모델로 크게 기초 소양 역량군, 전문 핵심 역량군 등 2개의 역량군과 하위 8개 역량, 26개의 행동지표가 개발되었다. 기초 소양 역량군에는 이러닝 프로젝트 관리, 디지털 활용 능력, 프레젠테이션, 이러닝 콘텐츠 기획력 등의 역량이 도출되었으며 전문 핵심 역량군에는 문제해결역량, 자기 계발, 혁신 지향, 커뮤니케이션 등의 역량이 도출되었다. 또한 경력별 요구도 분석을 통해 경력에 따라 요구되는 우선순위 역량을 파악하였다. 2년 미만의 저경력자들은 이러닝 프로젝트 관리 역량을 가장 필요로 하였고, 10년 이상 고경력자들은 커뮤니케이션 역량을 가장 필요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이러닝 교수설계자들의 직무수행에 있어 지침을 제공하고 경력에 따른 이러닝교수설계자들의 직업훈련이나 연수프로그램 구성에 이론적 근거가 될 것이다.This study aims to develop a competency model for e-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 To this end, a study was conducted using competency modeling. For data collection, a related literature study was conducted, and five excellent instructional designers were interviewed using behavior event methods. Through the process, the basic competency model could be selected. In addition, using the Delphi method, the tentative competency model was reviewed twice by five experts in academic and corporate fields. And in order to understand the education priority according to the career of the e-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 the needs were analyzed using the Borich requirement. As a result of the study, as a competency model that an e-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 should have, two competency groups including basic literacy competency group and professional core competency group, eight lower-level competencies, and 26 behavioral indicators were developed. Competencies such as e-learning project management, digital application ability, presentation and e-learning content planning were derived from the basic literacy competency group, and competency such as problem-solving capability, self-development, innovation orientation, and communication were derived from the professional core competency group. In addition, the priority competency required for each career was identified by analyzing the needs of each career.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guidelines for e-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s in their job performance and serve as a theoretical basis for training programs for e-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s according to their career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