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고령자의 자살문제는 최근 들어 급진한 사회적 이슈화를 거쳐 이제는 정부가 관여하는 정부의제화로 이미 변화되었고, 고령자의 자살 문제에 대한 대중적 인식과 그에 대한 정책대응을 요구하는 치명적인 중요성을 갖는 영역으로까지 확대되어 그 대안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자의 자살 위험요인과 자살전조에 대한 예측을 통해 사회적 문제를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자살위험요인의 네 가지 개인요인, 가정요인, 경제적요인과 사회적 요인의 하위요인 중 우울증과 이 높을수록, 배우자와의 관계에 대한 만족도가 낮을수록 자살전조현상이 많아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우울과 배우자와의 관계에 대한 만족도에 대한 적절한 임상적 개입이 자살전조 현상과 관련해 매우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The suicide problem of the elderly has recently changed into a government agenda that the government is involved in through a radical social issue in recent years, and has expanded to areas of critical importance that demand public awareness of the suicide problem of the elderly and policy responses to it. As a result, the need for an alternative is increasing.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social problems through prediction of suicide risk factors and suicide precursors in the elderly. As can be seen from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mong the four individual factors, family factors, economic factors, and social factors of suicide risk factors, the higher the depression and the lower the satisfaction with the relationship with the spouse, the predisposition to suicide. You can see that there are many.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appropriate clinical intervention on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pouse can act as a very important variable in relation to the suicidal phenomenon.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