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velop the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 for the middle manager in organizations and examine its validity. To develop the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 of middle managers, first, 632 items extra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expert interviews, and open surveys for middle managers.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items, it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competencies between communication with superiors and communication with subordinates. Thus it was decided to develop two different scales for each of middle managers’ communication competencies with superior and communication competencies with the subordinate. Based on experts’ evaluations on the content validity of the items, 81 items for the communication competencies with superior and 78 items for the communication competencies with subordinates were selected. In the first preliminary survey obtained from 338 middle managers, ten factors and 69 items selected for the communication competencies with superior and eight factors, and 54 items obtained for the communication competencies with the subordinate. In the second preliminary survey obtained from 206 middle managers, eight factors, and 64 items for the communication competencies with superior and seven factors and 45 items for the communication competencies with subordinates obtained. The total sample was divided into two groups to check the scale validity. Exploratory factor analyses conducted for group 1 then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ducted for the other group.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xtracted 8 factors (persuasion, self-confidence, manner, listening, honesty, confirm, logicality, wisdom) and 52 items for the communication competencies with superior, and 7 factors (listening, humor, emotion regulation, modesty, non-verbal expression, consideration, clarity) and 37 items for the communication competencies with subordinate. In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models fit the data well. Also, the communication competencies of the middle manager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criterion variables such as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mpetencies and conflict management and confirming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of the scale. Finally,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discussed.

Highlights

  • 상사와의 의사소통역량과 준거변인인 대인 관계 유능성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해보면 상 사와의 의사소통역량 8요인과 대인관계 유능 성 3요인간의 상관계수는 .14(경청과 자신의 권리나 불쾌함에 대한 주장)부터 .59(전체 상 사와의 의사소통역량과 타인에 대한 정서적 지지)까지 나타났다. 타인과의 관계 형성 및 개시 요인은 자신감 요인과 .42로 가장 높은 상관을 나타냈다. 누군가와 관계를 맺기 위하

  • Key words : communication, middle manager, organizational communications, communication competence, communication ability,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

Read more

Summary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본 연구는 조직 내 중간관리자의 의사소통역량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중간관 리자의 의사소통역량 척도를 개발하기 위하여 문헌 검토, 전문가 인터뷰, 중간관리자들을 대상으로 한 개 방형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632개의 문항을 추출하였다. 그 과정에서 상사와의 의사소통과 부하와의 의 사소통 시 필요한 역량이 다른 것을 확인하고 중간관리자의 의사소통역량을 상사와의 의사소통역량과 부 하와의 의사소통역량으로 구분하여 검사를 2개로 나누어 개발하였다. 2번의 문항 분류 작업과 전문가들의 내용타당도 평가를 거쳐 상사와의 의사소통역량은 81문항, 부하와의 의사소통역량은 78문항을 선별하였 다. 1차 예비조사는 중간관리자 338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상사와의 의사소통역량은 10요인, 69문항, 부 하와의 의사소통역량은 8요인 54문항을 추출하였고, 중간관리자 206명을 분석한 2차 예비조사 결과로 상 사와의 의사소통역량은 8요인, 64문항, 부하와의 의사소통역량은 7요인, 45문항을 선정하였다. 척도의 타 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중간관리자 596명의 데이터를 두 집단으로 나누어서 한 집단은 탐색적 요인분석 을 실시하였고, 또 다른 집단은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상사와의 의사소통 역량은 8요인(설득, 자신감, 예의, 경청, 솔직성, 확인, 논리성, 의도파악) 등 52문항, 부하와의 의사소통역 량은 7요인(경청, 유머, 감정조절, 겸손, 비언어표현, 배려, 명확성) 등 37문항을 도출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확인적 요인분석에서는 모형 적합도 기준을 충족하고 있는 것을 검증하였다. 중간관리자의 의사소통역량은 대인관계유능성 및 갈등관리 등의 준거변인과 유의하게 상관이 나타나 준거관련타당도가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들을 토대로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 및 실무적 의의, 그리고 제한점 과 미래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조직 내 중간관리자의 의사소통역량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실제 업 무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중간관리자를 위한 의사소통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가 개발된다면 그것에 맞게 다양한 의사소통 교 육 프로그램들도 개발될 수 있다고 본다. 적응하며, 적절한 방식으로 행동한다.” 등의 문항들은 애매한 표현들이기 때문에 직장 내 의 의사소통 현실을 반영한 구체적인 문항들 로 보다 정확하게 중간관리자의 의사소통역량 을 측정할 필요가 있다. 넷째, 다양한 설문조사에서도 보았듯이 최근 우리나라 직장인들이 의사소통과 관련된 스트 레스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의사소통역량 척도들은 대부분 국외 척 도를 번안한 것이다. Nam과 Kim(2010)의 의과대학생의 의사소통능 력 척도, Shin과 Kang(2010)의 커플의사소통척 도, Kim(2010)의 노년기 의사소통능력 척도, Son(2016)의 대학생의 의사소통 역량 척도 등 특정 대상에 한정되어 있는데다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한 척도 역시 모든 직장인을 아우르 고 있어 중간관리자에게 필요한 의사소통역량 척도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본다.

Detail component
To think and say that everyone is fair
Competence with
Findings
Kwangwoon University
Full Text
Paper version not known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