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utilities of two types of item response process models(dominance model and ideal point model) for personality item parameter estimation and scoring. The authors developed scales for four personality traits(achievement, fairness, cooperation and honesty) using classical test theory, dominance item response theory(IRT) method, and ideal point IRT method and compared the methods in terms of model-data fit, information and criterion validity. Results show that the fit of ideal point IRT model was better than that of dominance IRT model,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t of two models was very slight. The test information functions of ideal point IRT model and dominance IRT model for honesty and cooperation scales were very similar.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based on individual ability estimates and grades was not significant for the three methods but the validity for the ideal point method is not better than dominant IRT mode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findings are discussed.

Highlights

  • 본 연구는 성격 측정에 있어서 어떠한 측정모형이 가장 적합한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고전검 사이론과 우세(dominance) IRT 반응 모형, 이상점 모형(ideal point 을 model) 이용하여 성취지향, 공정성, 협조성, 진실성 등 네 차원의 문항들을 개발 및 선별하여 모형간 적합도를 비교하였 다. 그 결과, 대체로 이상점 모형의 적합도가 우세 반응 모형보다 약간 더 높은 것으로 나오 기는 하였지만 그 차이는 매우 미미하였다. 또한 진실성과 협조성 차원에 대해서는 두 모형 으로 개발된 척도의 검사정보함수 간 차이는 거의 없었다. 준거 타당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세 가지 측정모형으로 개발된 네 차원 척도와 성적 간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상관이 유의미 하지는 않았지만 측정모형 간 차이는 거의 없었다. 논의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 및 본 연구 가 갖는 한계점, 산업 현장에서 갖는 의미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 물론 이선희(2008)의 연구가 다 른 연구 장면을 제공하기는 하지만, 이 연구 에서는 이상점 모형과 우세 모형 각각의 가정 을 기반으로 척도를 구성하고 이들 간의 적합 도를 비교한 것이 아니라, 연구자가 자체적으 로 개발한 동일한 30문항에 대해 두 모형을 비교하는 연구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성격측정에서 우세과정과 이상점반응 과정을 비교하기 위한 것으로, 구 체적으로는 각 가정을 바탕으로 하는 고전검 사이론(CTT), 우세 IRT, 이상점 IRT 척도화 (scaling) 방법에 따라 구성되는 척도의 결과를

Read more

Summary

Introduction

본 연구는 성격 측정에 있어서 어떠한 측정모형이 가장 적합한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고전검 사이론과 우세(dominance) IRT 반응 모형, 이상점 모형(ideal point 을 model) 이용하여 성취지향, 공정성, 협조성, 진실성 등 네 차원의 문항들을 개발 및 선별하여 모형간 적합도를 비교하였 다. 그 결과, 대체로 이상점 모형의 적합도가 우세 반응 모형보다 약간 더 높은 것으로 나오 기는 하였지만 그 차이는 매우 미미하였다. 또한 진실성과 협조성 차원에 대해서는 두 모형 으로 개발된 척도의 검사정보함수 간 차이는 거의 없었다. 준거 타당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세 가지 측정모형으로 개발된 네 차원 척도와 성적 간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상관이 유의미 하지는 않았지만 측정모형 간 차이는 거의 없었다. 논의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 및 본 연구 가 갖는 한계점, 산업 현장에서 갖는 의미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물론 이선희(2008)의 연구가 다 른 연구 장면을 제공하기는 하지만, 이 연구 에서는 이상점 모형과 우세 모형 각각의 가정 을 기반으로 척도를 구성하고 이들 간의 적합 도를 비교한 것이 아니라, 연구자가 자체적으 로 개발한 동일한 30문항에 대해 두 모형을 비교하는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성격측정에서 우세과정과 이상점반응 과정을 비교하기 위한 것으로, 구 체적으로는 각 가정을 바탕으로 하는 고전검 사이론(CTT), 우세 IRT, 이상점 IRT 척도화 (scaling) 방법에 따라 구성되는 척도의 결과를

Results
Conclusion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