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우리나라에서도 2001년도 들어 구미여성에서와 같이 유 방암이 여성 암의 1위를 차지하면서 1995년도에 비해 불 과 7, 8년 사이에 2배 가까운 비율로 급속히 증가하고 있 는 추세이다.(1) 영국의 외과의사인 John of Aderne가 1307 년 처음으로 남성 유방암에 대해 언급한 이후 20세기에 들어서도 대규모의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던 남성 유방암 은 그 분포가 여성 유방암의 경우와 비슷하여 여성 및 남 성 유방암 모두 실제적으로 없는 지역은 없으나, 여성 유 방암의 빈도가 높은 지역이 남성 유방암의 빈도도 높게 보고되고 있다. 인종별, 지역별 예외적인 보고가 있기는 하지만, 남성 유방암의 경우는 여성에서 생기는 경우보다 희귀하고 발견 역시 늦어지는 결과로 예후면에 있어서 좋 지 않은 결과가 우세했다. 그러나 최근 Crichlow 등(2)에 의하면 남성 유방암은 여성과 동일병기를 기준으로 볼 때 같은 생존 및 예후를 나타낸다고 한다. 저자는 1989년부 터 2003년까지 4,809예의 유방암 환자 중 기록이 온전하 며 추적이 가능했던 13예의 유방암을 문헌고찰과 함께 보 고하고자 한다. 제한된 소규모의 임상경험과 정립된 문헌의 부재는 남 성 유방암의 원인과 치료법, 예후 및 생존율의 파악에도 많은 어려움을 주고 있다. 이에 체계적인 작업 하에 확신 있는 결론이 밝혀질 수 있도록 꾸준한 관심과 추적조사가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