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우리나라에서 농업은 작업조건과 작업방식이 다양하고 통제할 수 없는 자연환경에 노출되어있고, 종사자 연령이 고령인 관계로 농작업 인적 재해율이 산업전체 평균 재해율보다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농촌진흥청에서는 ‘농림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어촌지역 개발촉진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농업인의 업무상 손상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매년 ‘농업인의 업무상 질병 및 손상 조사’를 수행하고 있는데, 격년 주기로 한 해는 질병조사, 한 해는 손상조사를 정례적으로 실시한다. 본 연구는 2015년 조사된 농업인의 업무상 손상조사 자료를 기초로 한다. 2015년 조사는 전국의 농가표본 10,020가구에 거주하는 15,654명의 농업인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는데, 이 자료를 이용하여 농업인의 업무상 손상발생률을 추정하고 의사결정나무 기법과 로지스틱회귀분석 모형을 사용하여 손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하였다. 손상의 정의를 업무상 휴업 3일 이상을 요하는 것으로 정의할 때, 2015년 농업인의 업무상 손상발생률은 1.81%로 나타났다. 농업인의 업무상 손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는 주요농업 종류, 연령, 동력기계 사용여부, 일출전/일몰후 농작업 수행여부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일부 요인들 사이에는 교호작용 효과가 존재하였다.It is well known that the agricultural occupational injury rate is higher than the overall industrial injury rate because of poor working condition and various methods, under uncontrollable natural environment.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is conducting the Korean farmers’ occupational disease and injury survey (KFODIS) in accordance with the special acts on enhancing quality of life for farmers and fishermen and also on promoting development of the agricultural and fisheries sector. This study is carried based on the data from 2015 KFODIS done with 15,654 farmers of 10,020 households. This study estimates the agricultural occupational injury rate which closely related to the safety and health of the farmers and identifies the factors that affect the injuries using logistic regression. The estimated injury rate is 1.81%. The injury rates of the orchard farming (2.31%), the greenhouse farming (2.39%) and the livestock farming (2.69%) are higher than those of rice farming (1.63%) and dry fields farming (1.49%). We find that the factors such as the main farming types, farmer’s age group significantly affect the injury rate. And the greenhouse farming with the age group and using farm machinery show interaction effects.
Published Version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