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목적 정보 기술의 발전과 COVID-19의 영향으로 온라인 교육 및 혼합 교육이 대학의 다양한 과정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대학생의 온라인 L2자기조절학습 상태와 L2 자기조절과 영어 숙련도 수준 간의 관계를 탐색하기 위해, 본 연구는 비영어 전공자의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영어 자기조절학습의 현황과 영어 학습 효과와의 관계를 정량적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연구하였다. 방법 이 연구에서 선택한 두 클래스의 대조군과 실험 클래스의 비율은 각각 51%와 49%이다. 본 연구의 연구원은 네트워크 환경에서 영어를 배우는 과정에서 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 전략과 기술 (skill)을 조사하기 위해 설문지를 처음 사용하였다. 실험 전 두 반의 실력은 비슷했다. 교사는 학습자가 온라인으로 가르치는 동안 학습 목표, 접근 방식 및 성찰 측면에서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 전략 및 기술(skill)에 효과적으로 개입하였다. 3개월 간의 실험을 한 후, L2 SRL과 두 수업 간의 영어 시험 점수를 다시 비교하였다. 결과 Paried sample t test를 수행함으로써 실험 클래스의 결과는 22.2점 증가했으며, 해당 테스트 유의성 p는 .000(<.05)로 영어 테스트의 성취도가 크게 향상되었음을 의미한다. 새로운 교육 모델의 각 변수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각 전략과 영어 실적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으며(p<.05) 해당 상관계수는 .352~.704이었다. 회귀 방정식은 전체 변동의 84.9% (Adj. R²)를 설명하여 모델이 적합하고, 해당 분산 F값의 분석이 45.183으로 매우 유의미한 수준에 도달함을 의미 하였다(p<.05). 목표 설정, 환경 구축, 작업실행(task) 전략(strategies), 시간 관리 전략, 도움(help seeking) 전략 및 자기 평가는 영어 능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며(p<.05), 표준 회귀 계수는 각각 .234, .346, .299, .228, .266, .249이었다. 결론 위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학생들의 L2 SRL 전략과 기술은 영어 시험 결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교사의 도움과 학생들의 목표 설정, 환경 구조화, 작업 전략, 시간 관리, 도움 추구 및 자기 평가에 대한 개입을 통해 L2 SRL은 향상되었다. 결과적으로 영어 결과도 향상되었다.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