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이 연구는 유아가 정보 제공자에게서 낯선 정보를 수용한 이후, 그와 불일치하는 사례들을 관찰하였을 때 기존의 정보 수용을 철회하는지를 알아보았다. 구체적으로, 이미 수용한 정보 제공자의 정보와 직접 관찰한 사례들이 불일치하는 정도(완전 불일치, 대부분 불일치), 그리고 관찰 사례들을 접하기 전에 기존의 수용 정보에 관한 성인의 질문을 접하는지 유무에 따라 유아가 기존의 정보 수용을 철회하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 참여자는 5세 101명(남: 49명, 여: 52명)이었으며, 온라인 실험으로 이를 알아보았다. 자료는 SPSS 20.0으로 교차분석과 이항검정을 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는 이미 수용한 정보 제공자의 정보와 이후에 관찰한 사례들이 완전히 불일치할 때에는 기존의 정보 수용을 철회하지만, 대부분 불일치할 때에는 기존의 정보 수용을 유지하는 경향이 있었다. 둘째, 기존의 정보 수용에 관한 질문을 접한 유아는 대부분 불일치 조건에서 기존의 정보 수용을 철회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질문이 특정 조건에서 유아의 능동적인 정보 수용을 도울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ether children retract their initial acceptance of unfamiliar information provided by an informant after encountering inconsistent information. Specifically, the study examines whether the degree of inconsistency between the previously accepted information and the directly observed examples (complete inconsistency, mostly inconsistency), and whether children were exposed to questioning by an adult about their prior acceptance before being presented with the observed examples, influence children's tendency to retract their initial acceptance. The study involves 101 five-year-olds (49 boys, 52 girls) who were interviewed online as participant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0.0 with cross-analysis and binomial test. The results suggest that children retract their prior acceptance of information when presented with complete inconsistency, but tend to maintain their prior acceptance when there is mostly inconsistency. Furthermore, when questioned about their prior acceptance, children tend to retract their acceptance in mostly mismatched situation. This study provides valuable insights into children's information acceptance and highlights the role of questioning in promoting active information acceptance under a specific condition.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