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1) propose and validate the integrative job performance model composed of task performance, contextual performance, adaptive performance, and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CWB), which have been identified as major dimensions of job performance in existing research, (2) explore the possibility of G factor in the 4 dimensions based on the integrative model, and (3) compare differences in the antecedents of personality variables and criteria of job effectiveness to confirm independence among performance dimensions. A total of 649 employees from various organizations participated in two online survey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 structures of individual performance dimensions were examined through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before verifying the integrated model. A single factor structure for task performance and two-factor structure for CWB aimed at individuals (CWB-I) and organizations (CWB-O) were identified. Both contextual and adaptive performance were shown to have a hierarchical factor structure. Specifically, contextual performance consists of the 3-6 factor structure of individual-oriented (help-cooperation and consideration-courtesy), organization-orient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compliance), and conscientious-initiative (persistence-initiative and self-development). For adaptive performance, the 2-5 factor structure was extracted. That is, the five factors of adaptive performance are divided into two factors of reactive (coping, interpersonal adaptation, and stress) and proactive (creativity and learning). The integrative job performance model of task performance, contextual performance, adaptive performance, and CWB was verified. The hierarchical factor structure of the integrated model composed of the sub-factors of each performance dimension was also confirmed. Second, the Average Variance Extracted (AVE) demonstrated that the variance of G factor is 62.0%, supporting the presence of G factor in performance. Third, the differences were found in both antecedents of personality (HEXACO and dark personality factors) and criteria of job effectiveness (wage, promotion, job satisfaction, job engagement,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the 4 dimensions of job performance. indicating the discriminant validity of performance dimension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based on the above findings.

Highlights

  • 먼저 수행 차원별 변별성을 확인하기 위 해 수행의 예측변인으로 알려진 성격 특성 (HEXACO, 어두운 성격)과 상관(Table 12)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첫 단계로 인구통계 적 변인을 통제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Table 13), 과업수행(2요인)은 HEXACO의 외향성, 성 실성, 개방성, 정직-겸손성, 정서성, 어두운 성 격의 ‘변덕스러운’, ‘비판적인’ 요인에 의한 예 측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처행동 요인

  • Key words : job performance, task performance, contextual performance, adaptive performance,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factor structure, G factor

Read more

Summary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본 연구의 목적은 (1) 기존 연구에서 직무수행의 주요 차원으로 밝혀진 과업수행, 맥락수행, 적응수행, 반 생산적 업무행동으로 구성된 4개 수행 차원을 통합한 직무수행 모형의 적합성을 검증하고, (2) 통합모형을 기반으로 수행의 G 요인 가능성을 탐색하며, (3) 수행 차원별 차별성을 확인하기 위해 성격 선행변인과 직무효과성 결과변인에서의 차이를 비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양한 직군의 국내 직장인 649명을 대상 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모형의 적합도 검증에 앞 서 개별 수행 차원의 요인구조를 살펴본 결과, 과업수행은 1요인, 반생산적 업무행동은 개인과 조직 관련 2요인이 도출되었고, 맥락수행과 적응수행은 위계적 구조를 보였다. 즉, 맥락수행은 타인지향(도움 및 협 력, 배려 및 예의), 조직지향(조직지지, 규정준수), 성실주도(지속주도, 자기계발)의 3-6요인으로 구성되었다. 적응수행의 경우, 반응적 적응수행(대처행동, 대인관계 적응, 스트레스 관리)와 주도적 적응수행(창의성, 학 습)의 2-5요인 구조가 도출되었다. 이와 같은 개별 하위요인들로 구성된 4개 차원의 위계적 직무수행 모형 의 적합도가 적절하여, 국내외적으로 적응수행을 포함한 통합모형의 타당성이 최초로 확인되었다. 둘째, 평균분산추출을 통해 산출한 G요인 설명량이 62.0%로 나타나 직무수행의 G 요인 가능성이 지지되었다. 셋째, 직무수행의 선행변인(HEXACO, 어두운 성격)과 결과변인들(급여, 승진, 직무만족, 직무열의, 직무소 진, 이직의도)과의 관련성을 검토한 결과, 4개 수행 차원들의 차별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위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즉, 많은 연구자들이 반생산적 업무행동을 과업수행 및 맥락수행과는 구분되 는 또 다른 수행의 독립 차원으로 간주하였다 (Viswesvaran & Ones, 1999; Rotundo & Sackett, 2002, Campbel & Wiernik, 2015 등). 반생산적 업무행동 차원에 대해서도 지금까지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는데(Murphy & Lee, 1994; Sackett & Wanek, 1996 등), 그중 개인에 대한 일탈(CWB-I, 예; 험담하기 등)과 조직에 대한 일탈(CWB-O, 예; 절도, 결근 등)로 구성 된 2요인 구조가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다 (Marcus & Schuler, 2004; Campbel & Wiernik, 2015). 지금까지 검토한 내용을 기반으로 본 연구 에서는 수행의 대표 차원인 과업수행, 맥락수 행, 반생산적 업무행동, 적응수행을 포함하는 종합적인 수행모델을 구축 및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업수행의 모형 합치도는 TLI .970, CFI .986, RMSEA .072로 나타났다. 수용 가능성의 기준 이 TLI와 CFI는 .90 이상(Tucker & Lewis, 1973; Bentler, 1990), RMSEA의 경우, .08 이하(Browne & Cudeck, 1993)임을 고려할 때, 모형 합치도 는 모두 수용 가능했다. 또한, 하위요인별 요 인계수의 비표준화 및 표준화 추정치, C.R. 값 을 고려할 때 1모형의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특히 모든 요인계수가 p

Model df TLI
Kaiser Meyer Olkin
Findings
Hoseo University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