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국내·외 크루즈산업에 대한 심도 깊은 분석을 통해 국내 크루즈산업의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해양수산부, 문화체육부, 한국관광공사, 각 지자체의 주요 계획, 실적, SWOT 분석 등을 종합적으로 기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크루즈산업 활성화 측면에서 접근하여 전국의 지방 해양도시를 중심으로 4대 중점 추진 전략을 제시하였다. 4대 중점 추진 전략은 첫째, 외국 크루즈선 국내항만 기항 확대를 위해 해외 크루즈 선사 기항 유치 활동 강화, 관련 인프라 확충 등의 세부 추진 전략을 제시하였으며, 둘째, 국내 크루즈 관광 수요 확대를 위해 다양한 크루즈 마케팅 및 크루즈 관광 수요 창출 등을 제안하였다. 셋째, 국내 모항 크루즈 항로 다양화를 위하여 국내 항만 모항 크루즈 운항 확대, 환동해-환서해권 항로 다각화 방안의 필요성을 역설하였으며, 넷째, 크루즈 연관산업 활성화 지원과 관련하여 크루즈 전문인력양성 사업 강화, 선용품 수출 확대 및 연관 산업 지원 등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국내·외 크루즈산업은 2000년 이후 웰빙, 건강, 힐링 등 관광업계의 테마여행으로 선박을 탑승한 글로벌 투어리즘에 따른 이용자 증대로 COVID-19 이전까지 지속적 성장 추세를 보였으나, 펜데믹 상황 이후 현재는 마이너스 성장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COVID-19 종식 전 크루즈산업에 대한 활성화 전략을 도출하고, 이를 활용한 정책의 준비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국내 크루즈산업의 회복 및 지속가능성,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해양 도시와 크루즈산업 등에 대한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