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이 연구는 제주도 방언에서 접속부사의 형태적 특성과 그 의미를 기술하고 담화 기능적 측면에서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제주도 방언에서 ‘그러-’류의 접속부사들은 ‘경다’에서 파생되는데 ‘경고, 경난’ 형태로 나타난다. 이 접속부사들은 다시 축약되어 ‘겨고, 거고, 계고, 게고’과 같은 모습으로 문장에서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접속부사의 본래적인 기능인 문장 접속의 기능 외에도 담화표지로 쓰이기도 한다. 제주도 방언에서 ‘경-’류의 접속부사는 ‘경다’에 연결어미 ‘-고, -나, -니 까’가 결합하여 만들어진다. 그 종류는 ‘경-’와 ‘겨/거-, 계/게-’의 3가지 형태로 나타나는데 이는 음운의 탈락과 추가, 단모음화 과정을 거친다. 표준어와 달리 제주도 방언의 접속부사는 여러 가지 형태가 함께 나타나는 단계에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또한 담화표지로서 접속부사는 다양한 상황에서 쓰인다. 이들은 접속부사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나 그 본래의 접속부사로서의 의미가 약화되었기 때문에 담화상황 속에서 의미를 파악해야 한다. 담화 상황에 존재하는 화자와 청자, 화제의 관계 속에서 담화 표지가 어떤 기능을 하는지 정리해 보았다. 또한 담화표지로 쓰이는 접속부사는 출현하는 위치가 자유롭고 생략이 가능하며 다른 담화표지로 대치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The present study is aimed to describe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conjunctive adverb of Jeju dialect, and then examine its functional aspect of discourse. In Jeju dialect, the conjunctive adverbs in form of ‘그러- (guru-)’ are derived from ‘경다 (gyunghada)’ and expressed in the form of ‘경고 (gyunghago) and 경난 (gyunghana)’. These conjunctive adverbs are shortened again to ‘겨고 (gyugo), 거고 (gugo), 계고 (gyego), 게고 (gego)’, playing several roles in a sentence. They are used a discourse marker as well as to connect sentences, which is the original function of conjunctive adverb. In Jeju dialect, conjunctive adverbs in form of ‘경- (gyung-)’ are made when ‘경 다 (gyunghada)’ is connected with such connective suffix as ‘-고 (-go), -나 (-na), and -니까 (-nika)’. They are expressed in 3 types: ‘경- (gyungha-)’와 ‘겨/ 거- (gyu/gu-), 계/게- (gye/ge-)’, which are the characteristics of phoneme deletion and addition, and monophthongization. Structural analysis of the forms of discourse markers showed that it is difficult to shorten such discourse markers including ‘ 여- (hayu-)’나 ‘헤- (he-)’. In addition, conjunctive adverbs as discourse marker are used in diverse situations. They maintain the form of conjunctive adverb, but its meaning has to be found in the context of discourse because their original meaning as conjunctive adverb have been weakened. In this respect, this study summarized the functions discourse marker play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peaker and listener and in the relation of topics. Besides, it found that conjunctive adverb that is used as conjunctive adverb is not limited to its position to use, can be skipped, and replaced with other discourse marker.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