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4대강 사업으로 보가 건설되어 주변 농경지의 농업방식 및 재배작물이 변화하고 수무개방에 따른주민들의 갈등이 격화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합천창녕보 상류에 위치한 경상북도 고령군 우곡면객기리 일대를 대상으로 합천창녕보 수문개방에 따른 주변지역 지하수위 변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모의 시나리오는 하천수위, 함양특성, 지하수 이용 조건을 기준으로 작성하였다. 모의 결과 모든시나리오에서 기본적으로 낙동강 하천수위에 따라 지하수위가 결정되고 분기별 함양특성 및 지하수이용조건에 따라 일부 지하수위가 변화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 합천창녕보 수문개방에 따른 상류 지역의 지하수위 변동이 불가피하고 지하수 시설의 깊이가 얕은 일부 지역의 경우지하수 이용 장애가 발생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합천창녕보 수문 개방에 따른 주변지역 지하수문제 파악을 위해 지역에 대한 정확한 지반조사 및 지하수 평가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The construction of weirs in Nakdong River has altered the farming methods and cultivated crops of the surrounding farmland and the conflict among residents is increasing due to the opening of weir gates.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fluctuations in the surrounding area due to the opening of the Hapcheon-Changnyeong weir gate were analyzed, focusing on the area of Gaekgi-ri, Ugok-myeon, Goryeong-gun in Gyeongsangbuk-do. The simulation scenario was based on the river water level, recharge characteristics, and the conditions for groundwater use. In all scenarios, it is found that the groundwater level wa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evel of Nakdong River and some groundwater levels changed by the characteristics of quarterly recharge characteristics and groundwater use conditions. This study found that fluctuations in the groundwater level in the upstream region are inevitable due to the gate opening of Hapcheon-Changnyeong weir and problems in groundwater use could occur in some areas with shallow groundwater facilities.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