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원발성 폐동맥고혈압은 아주 드문 질환으로 임신부에게 잘 나타나지 않으나, 이러한 환자가 임신하게 되면 높은 사망률과 유병률을 보 이므로 임신은 금기이다. 또한 원발성 폐동맥고혈압을 잠재적으로 가지고 있어 평소 증상이 없는 여성이 임신을 한 경우에도 임신 시의 생리적 혈액량의 증가만으로도 폐동맥고혈압을 더욱 악화시킴으로써 심장에 부담을 가중시켜 심부전을 일으키게 되어 사망까지 이를 수 있다. 저자들은 임신 22주에 자궁경부무력증으로 입원하여 봉축수술 후 절대 안정 가료 치료로 임신 중 특이 증상을 보이지 않다가, 임신 30주 6일에 조기질식 분만 후 퇴원하였다가 분만 후 7일째 갑자기 발생한 호흡곤란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서 다른 검사에서 이상이 없어 원발성 폐동맥고혈압으로 최종 진단한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