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목적 : 본 연구에서는 4-5세 기능적 조음음운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음운처리능력을 비교하여 살펴보고 각 영역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BR>방법 : 검사도구 REVT-R, U-TAP, OSMSE-R을 이용하여 4-5세 기능적 조음음운장애 아동21명과 일반 아동 27명으로 총 48명을 본 연구의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 아동과 기능적 조음음운장애 아동의 음운처리 수행능력을 시각적 자극과 청각적 자극을 함께 제시하여 살펴보고자 그림을 이용한 음운처리검사 도구를 직접 제작하여 검사를 실시하였다. 음운적 작업기억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그림 바로 지시하기 과제와 그림 거꾸로 지시하기 과제를 실시하였다. 그 다음으로 음운인식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음운인식 탈락과제, 합성과제, 변별과제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음운적 정보회상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빠른 이름대기 과제를 실시하였다.<BR>결과 : 첫째, 기능적 조음음운장애 아동은 일반 아동에 비해 음운적 작업기억 능력이 낮았다. 둘째, 기능적 조음음운장애 아동은 일반 아동에 비해 음운인식 능력이 낮았다. 셋째, 기능적 조음음운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은 음운적 정보회상 능력이 비슷하였다. 넷째, 기능적 조음음운장애 아동은 모든 하위영역 간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일반 아동은 바로 지시하기 과제-탈락과제, 바로 지시하기 과제-변별과제, 탈락과제-변별과제 간 상관관계가 있었다.<BR>결론 : 기능적 조음음운장애 아동의 임상적 중재에 앞서 아동의 음운적 작업기억 능력과 음운인식능력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일반 아동에 비해 비교적 주의력이 짧은 기능적 조음음운장애 아동에게 그림, 사진과 같은 시각적 자극물을 함께 활용하여 임상에서 음운처리능력을 지도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일 것이다.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