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ITS 1, 2, 5.8S ribosomal RNA gene 염기서열 분석과 주사전자현미경 구조 분석을 통해 3종의 페루산 곤충병원성진균들의 동정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두개의 ITS 부위와 5.8S rRNA gene 부위를 포함하는 PCR product를 증폭하여 염기서열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분석된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NCBI의 BLAST를 이용하여 가장 높은 상동성을 보이는 종들의 ITS1-5.8S-ITS2 염기서열 정보와 비교분석을 위한 근연종들의 염기서열 정보를 다운로드하여 neighbor joining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5.8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은 속 수준에서도 거의 차이를 보여주지 않을 정도로 매우 안정적으로 보존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종간 구분이 모호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그와 반대로 ITS 부위의 염기서열은 종에 매우 특이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비교분석에 사용된 Beauveria bassiana strain 간의 차이는 확인할 수 없었다. ITS 염기서열 분석결과를 뒷받침하고자 곤충병원성 진균류의 동정을 위한 분류 key로 사용되는 미세구조 관찰을 위해 주사전자현미경 관찰과 광학현미경 관찰을 통해 B. bassiana 및 Lecanicillium attenuatum의 전형적 구조를 관찰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nucleotide sequence structures of intergenic transcribed spacer (ITS) 1, complete 5.8S ribosomal RNA gene and ITS 2 region were analyzed to identify three Peruvian entomopathogenic fungal isolates. The isolates had highly conserved sequence region in 5.8S rRNA gene and unique sequences in ITS 1 and 2 region among them. 5.8S rRNA gene regions were highly conserved and showed high homoloies among tested isolates. In contrast, ITS region showed species-specific sequence region, resulting in inter-genus differencies.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images of these isolates supported the result of ITS-based identification. From these result, Peruvian entomopathogenic fungal isolate J270, J278, were identified as Beauveria bassiana and J271 was identified as Lecanicillium attenuatum.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