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굽기에 비해 삶기를 했을 경우 중량과 부피의 감소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부위별로 조금씩의 차이를 보이기는 하지만 지방은 조리 후에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 되었으며 수분과 단백질은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무기질함량은 굽기를 했을 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삶기를 했을 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영양소 잔존율는 굽기에서 삶기에 비하여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수분, Na, K, P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잔존율 변화는 기존 분석자료와 비교했을 때 조리후의 영양소가 오히려 증가하는 것처럼 보이나 잔존량계수 계산법을 사용하게 되면 영양소가 감소하거나 증가 폭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적으로 유통되는 한우는 더 다양하며, 등급 품질 역시 5등급으로 구성되어 한우의 일부 특성만을 보여주고 있다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추후 국내에 유통되는 다양한 브랜드 한우를 이용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focus of the study was to maximize the output data for Korean cuisine. This study evaluated the nutritional retention factor for different cuts of Korean beef (Hanwoo beef) subjected to various cooking methods. Five cuts (short rib, sirloin, chuck roll, tenderloin, and fore shank) of Korean Hanwoo beef were prepared and used in this experiment. Two different cooking methods (dry-heat cooking and moisture-heat cooking) were applied to each cut. The sodium contents of dry-heat cooked short rib (86.44), sirloin (76.81), tenderloin (86.65), and fore shank (85.89) decreased. Potassium contents of dryheat cooked sirloin (94.99), chuck roll (89.19), and fore shank (92.66) decreased. Calcium contents of dry-heat cooked sirloin (61.49), chuck roll (73.97), and fore shank (91.46) decreased. Iron contents of dry-heat cooked chuck roll (79.71), and tenderloin (90.79) decreased. Phosphorus contents of dry-heat cooked sirloin (87.87), and tenderloin (99.88) decreased. Mineral contents of all cuts cooked by moisture-heat decreased. Finally, the nutritional retention factor represents output data of each cooking method with yield % of each item.

Full Text
Published version (Free)

Talk to us

Join us for a 30 min session where you can share your feedback and ask us any queries you have

Schedule a call